sub-visual

대한민국예술원상

대한민국예술원상

대한민국예술원상은 국내 문화예술계 인사 중 예술에 관하여 우수한 연구, 작품제작 또는 현저한 공로가 있는 자에게
시상하여 창작의욕을 고취하고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코자 1955년 부터 시행해온 국내에 가장 권위 있는 상입니다.

시상부문 아이콘

시상부문

문학, 미술, 음악, 연극·무용(4개부문)

시상인원 아이콘

시상인원

부문별 각 1명 (4명)

시상내용 아이콘

시상내용

상장,휘장 및 상금 각 5천만원

시상식 아이콘

시상식

매년 9월 초 예술원 대회의실

수상심사

수상 후보자 추천의뢰 접수

  • 주요 일간지에 시상요강 공고
  • 예술원 회원, 예술단체의 장, 대학교 총장의 추천 부문별 수상후보자 예비심사
  • 『부문별 예비심사위원회』에서 수상후보자 자격 여부, 요건 등 심사, 부문별로 수상후보자 선정

부문별 수상후보자 자격심사

  • 『부문별 심사위원회』에서 수상후보자 자격심사, 부문별로 수상후보자 선정

선정 수상후보자 종합심사

  • 『종합심사위원회』에서 선정후보자의 적격 심사

수상자 선정

『예술원 총회』에서 재적회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수상자 선정

역대 수상자

  • 제1회(1955년)부터 제69회(2024년)까지 총 230명 수상
  • 분야별수상자 : 문학 62명, 미술64명, 음악 51명, 연극영화무용 53명
68 개, 페이지 1/14
제 69회 대한민국예술원상
  • 회차
    제69회
  • 수상년도
    2024년
  • 수상
    김명인 서용선 이장호
  • 공적
    ① 김명인(金明仁): 1946년 출생.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졸업·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박사학위), 전 경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고려대학교 인문대학장 겸 인문정보대학원장 역임. 김달진문학상(92년)·소월시문학상(92년)·이산문학상(05년)·대산문학상(05년) 등을 수상했음.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하여 현재까지 시집 『동두천』, 『파문』등 비롯하여 13권의 시집, 학술연구서를 출간하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음. ② 서용선(徐庸宣): 1951년 출생. 서울대 회화과 졸업·동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 개인전 87회, 단체전 다수 참여했으며 제1회 중앙미술대전 특선(78), 동아미술상(82), 이중섭미술상(14)을 수상함. ‘모더니즘’에서 ‘현실주의’로 이어지는 현대미술의 경향 모두를 탐색하며 자신의 미술을 통해 교차시키고 종합하는 작품을 제작함. ③ 이장호(李長鎬): 1945년 출생. 신필름 조감독으로 시작하여,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집행위원장 역임(97~01, 05~07), 현재 (사)한국영상위원회 위원장. 1974년 데뷔작 ‘별들의 고향’으로 데뷔하여 청년문화의 붐을 일으키고, ‘어제 내린 비’, ‘바람불어 좋은날’, ‘어우동’ 등 한국영화를 대표하는 걸작들을 연출하였으며 베를린국제영화제에 초청 및 수상을 거두며 세계에서 인정받음. 옥관문화훈장 수훈(03).
제 68회 대한민국예술원상
  • 회차
    제68회
  • 수상년도
    2023년
  • 수상
    유성호 나희균 박동욱 박명성
  • 공적
    ① 유성호(柳成浩): 1964년 출생.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졸업·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박사학위), 현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재임, 한국문학번역원 이사. 김달진문학상(02년)·팔봉비평문학상(15년)·대산문학상(20년) 등을 수상했음.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하여 현재까지 『한국 현대시의 형상과 논리』 을 비롯하여 8권의 평론집을 출간하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음. ② 나희균(羅喜均): 1932년 출생. 서울대 회화과 졸업·프랑스 파리 에콜 데 보자르 수학, 1950년대 유럽에 유학한 최초의 여성작가이며, 주요 저작물으로는 1958년 <지붕>, 1970년<이웃과 함께>,<물결2><삼각의 네온>,1982년 <무지개>,<산2>,2002년 <짚에대한 생각>,2014년 <구름위의 계단>,<이길재에 의한 성운>등 70년이 넘는 세월동안 꾸준히 작업을 이어오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실험과 시도를 거듭하고 있음. ③ 박동욱(朴東旭): 1935년 출생. 해군군악학교 졸업・미국 뉴욕 매내스음대 기악과 졸업・미국 메사추세츠 로웰대 대학원 지휘전공 석사수료. (전)국립교향악단 및 KBS교향악단 수석 팀파니스트. 우리나라 최초로 미국에서 서양타악기를 전공하고 연주활동을 하였으며, 우리나라 전통타악기를 세계에 알린 공헌을 인정받아 올해의 음악가상(84년), 국민음악상(93년), 세계타악인회가 수여하는 평생교육공로상(05년) 등을 수상하였음. ④ 박명성(朴明誠): 1963년 출생. 서울예술대 무용과 졸업・단국대 영극영화과 편입 졸업・단국대 대학원 뮤지컬제작과정 졸업(석사). 현재 ㈜신시컴퍼니 대표, 예술감독・프로듀서. 한국 공연 프로듀서 1세대의 대표주자로서 <시카고>, <맘마미아> 등 대형 뮤지컬의 성공적 제작·기획을 통해 한국 뮤지컬의 대중화와 산업화를 이끎. 옥관문화훈장 서훈(12년).
제 67회 대한민국예술원상
  • 회차
    제67회
  • 수상년도
    2022년
  • 수상
  • 공적
    ① 김기택(金基澤): 1957년 출생. 중앙대 영어영문학과 졸업·경희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 현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 재임. 김수영문학상(95년)·현대문학상(01년)·미당문학상(04년)·상화시인상(09년)·이용악문학상(21년) 등을 수상했음. 1989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시)로 등단하여 현재까지 시집 <태아의 잠>을 비롯하여 7권의 시집을 출간하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음. ② 이건용(李建鏞): 1947년 출생. 서울대학교 작곡과와 동 대학원 작곡과 졸업·독일 프랑크푸르트 음악대학 졸업・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박사과정(수료),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서울시오페라단 단장 등을 역임. 오페라 <봄봄>, 관현악곡 <4월을 위한 서곡>, 국악관현악곡 <풀> 등 넓은 분야에 걸쳐 예술성 풍부한 작품을 다수 작곡하였음. ③ 양정수(梁貞洙): 1953년 출생. 이화여대 무용학과 졸업・동 교육대학원 졸업・한양대 대학원 체육과 졸업. 현 서울무용영화제 조직위원장, (사)한국현대무용진흥회 이사장. <비, 걸음 시리즈 ‘살내음이 그립다’> 등 300여 점의 창작활동을 통해 황조근정훈장(18년), 대한민국기독 예술대상(21년) 등을 수상하였음.
제66회 대한민국예술원상
  • 회차
    제66회
  • 수상년도
    2021년
  • 수상
  • 공적
    ① 김원우(金源祐): 1947년 경상남도 진주 출생. 경북대 영문학과 졸업·서강대 대학원 국문학과 졸업, 계명대학교 인문대학 교수를 역임. 한국창작문학상(83년)·동인문학상(91년)·동서문학상(98년)·오영수문학상(99년)·대산문학상(02) 등을 수상했음. 1977년 <임지>가 한국문학에 당선되어 등단한 이래 지난해 산문집 <편견예찬> 등 현재까지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음. ② 송영숙(宋英淑): 1948년 경북 김천 출생. 숙명여대 교육과와 동 대학원 산업대학원 사진디자인 전공, 비영리법인‘(재)가현문화재단’설립(02년)·‘한미사진미술관 설립’(03년) 등 한국문화예술의 발전과 사진예술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박물관미술관발전 유공자 정부포상(06년, 11년)·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 슈발리에(17년) 등을 수상했음. ③ 이상만(李相萬): 1935년 출생. 서울대 작곡과 졸업·벨기에 브리셀 고등기술학교 매체예술(수료)·고려대 언론대학원 최고위 언론과정(수료),한국방송공사 방송위원·고양문화재단 총감독 등을 역임. 옥관문화훈장(95년)·대통령표창(96년)·대한민국문화예술상(02년)·서울시문화상(07년) 등을 수상했음. ④ 전조명(田朝明): 1934년 평남 개천 출생. 서울예대 연극영화과 졸업, 1958년 ‘3인의 신부’외 140여 편 촬영 및 ‘소복’ 외 10여 편 감독 등 60여 년 동안 한결같이 한국영화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종상촬영상(65년)·청룡영화제촬영상(72년)·백상대상촬영상(92년)·대종상촬영상(95)·대한민국문화예술상(02년) 등 다수 수상했음.
제65회 대한민국예술원상
  • 회차
    제65회
  • 수상년도
    2020년
  • 수상
  • 공적
    ① 황종례(黃鐘禮): 1929년 서울 출생. 이화여대 서양화과 졸업. 국민대학교 도예과를 설립하고 동 학교 교수를 지냈으며, 1972년에는 황종례 도예연구소를 설립했음. 1993년 옥관문화훈장을 수훈, ’09년 명원차 학술상, ’13년 여성디자이너 리더쉽네트워크상 등을 수상했음. ② 박성원(朴成源): 1941년 서울 출생. 서울대 음악대학 성악과(65년), Roma conservatorio di SANTA CECILIA 국립음악원(성악) 졸업(78년), 계명대학교 교수, 상명대학교 교수, 연세대학교 교수 역임, 1988년 올해의 연주상, 1993년 문화공로상, 2013년 한국음악협회 특별상 등을 수상했음. ③ 전무송(全茂松): 1941년 황해도 해주 출생. 서울예대 연극과 졸업(64년), 고려대 최고위 정책과정 수료(98년)했음. 영화 <만다라> 출연 및 대종상 신인상(81년), 영화 <한줌의 시간 속에서> 이탈리아 살레르노 국제영화제 작품상(96년), 동아연극상 남자 연기상(06년), 제8회 아름다운 예술인상 ‘연극예술인상’(18년) 등 수상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