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發刊辭 |
류경채 |
한국어 |
- |
E-BOOK
|
4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演劇 |
- |
한국어 |
- |
E-BOOK
|
60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 |
- |
- |
- |
E-BOOK
|
3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凡例 |
- |
한국어 |
- |
E-BOOK
|
122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舞踊 |
- |
한국어 |
- |
E-BOOK
|
2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序文 |
차범석 |
한국어 |
- |
E-BOOK
|
5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論協律社(論說)《大韓每日申報》1906.3.8 |
- |
한국어 |
15 |
E-BOOK
|
6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責協律社觀光者《大韓每日申報》1906.3.10 |
- |
한국어 |
16 |
E-BOOK
|
7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律社之弊(論說)《大韓每日申報》1906.4.7 |
- |
한국어 |
17 |
E-BOOK
|
8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警告律社觀者(論說)《皇城新聞》1906.4.18 |
- |
한국어 |
18 |
E-BOOK
|
9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奉常副提調 李苾和氏 上疏文《皇城新聞》1906.4.19 |
- |
한국어 |
19 |
E-BOOK
|
10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演戱場의 野習(論說)《皇城新聞》1907.11.29 |
- |
한국어 |
20 |
E-BOOK
|
11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對演戱場하야 嘆邦人의 失其常性(論說)《皇城新聞》1908.5.5 |
- |
한국어 |
21 |
E-BOOK
|
12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劇界改良論(論說)《大韓每日申報》1908.7.12 |
- |
한국어 |
22 |
E-BOOK
|
13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演劇界之李人稙(論說)《大韓每日申報》1908.11.8 |
- |
한국어 |
23 |
E-BOOK
|
14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雖戱劇也나 於交際에 有害(論說)《皇城新聞》1909.6.19 |
- |
한국어 |
24 |
E-BOOK
|
15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我國演劇場(言壇) 《大韓民報》1909.9.14 |
- |
한국어 |
25 |
E-BOOK
|
16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演劇場主人에게(論說): 達觀生《西北學會月報》16호, 1909.8 |
달관생 |
한국어 |
26 |
E-BOOK
|
17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小說과 戱臺가 風俗에 有關(論說)《大韓每日申報》1910.7.20 |
- |
한국어 |
28 |
E-BOOK
|
18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劇界로 본 우리의 民族運動: 玄哲《東光》9호, 1927.1 |
현철 |
한국어 |
29 |
E-BOOK
|
19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觀劇雜感: 花藏人山《東亞日報》1928 |
- |
한국어 |
34 |
E-BOOK
|
20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人形劇 꼭두각시: 金在喆《東光》1929 |
김재철 |
한국어 |
40 |
E-BOOK
|
21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民族과 劇藝術: 洪海星《東亞日報》1929 |
홍해성 |
한국어 |
44 |
E-BOOK
|
22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愛蘭의 新劇作家 샨. 오케씨의 戱曲: 金龍洙《朝鮮日報》1931 |
김용수 |
한국어 |
52 |
E-BOOK
|
23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演劇批判에 對한 態度: 閔丙徽《朝鮮日報》1931.3.13,17 |
민병휘 |
한국어 |
72 |
E-BOOK
|
24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朴氏의 푸로劇觀과 抱氷氏의 『깨어진 거울』: 閔丙徽《 朝鮮日報》1931.2.11~12 |
민병휘 |
한국어 |
75 |
E-BOOK
|
25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演劇運動의 出發: 申鼓頌《東亞日報》1931 |
신고송 |
한국어 |
78 |
E-BOOK
|
26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劇界의 展望?提言: 金珖燮《東亞日報》1932.1.1 |
김광섭 |
한국어 |
83 |
E-BOOK
|
27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勞動者俱樂部劇에 對한 考察: 柳致眞《東亞日報》1932.3.3,4,5 |
유치진 |
한국어 |
90 |
E-BOOK
|
28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英國現代劇作家 죤 골즈워띄小論: 金珖燮《東亞日報》1932.11.17,19,22,30,12.2 |
김광섭 |
한국어 |
96 |
E-BOOK
|
29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愛蘭現代劇作家 던세이니論: 安容純《朝鮮日報》1933.5.13~17 |
안용순 |
한국어 |
111 |
E-BOOK
|
30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演劇은 어대로?: 白鐵《朝鮮日報》1933 |
백철 |
한국어 |
127 |
E-BOOK
|
31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金珖燮君의 劇壇提言을 駁함: 朴太陽《朝鮮日報》1933 |
박태양 |
한국어 |
129 |
E-BOOK
|
32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反駁에 對한 再反駁「新劇」과「演劇」의 差: 金珖燮《東亞日報》1933 |
김광섭 |
한국어 |
134 |
E-BOOK
|
33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劇藝術硏究會 第五回公演을 보고: 羅雄《朝鮮日報》1933 |
나웅 |
한국어 |
139 |
E-BOOK
|
34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演劇史 로맨쓰: 安鍾和《朝鮮中央日報》1933.8.11~9.2 |
안종화 |
한국어 |
143 |
E-BOOK
|
35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舞臺戱曲 創作의 實際: 朴英鎬《東亞日報》1934 |
박영호 |
한국어 |
177 |
E-BOOK
|
36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性을 復習하고 戱曲創作의 再出發: 朴英鎬《朝鮮中央日報》1934.1.18~23 |
박영호 |
한국어 |
185 |
E-BOOK
|
37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劇演第六回公演: 『人形의 집』을 보고: 羅雄《東亞日報》1934.4.27 |
나웅 |
한국어 |
188 |
E-BOOK
|
38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舞臺俳優의 演技에 對하야: 金承一《東亞日報》1934 |
김승일 |
한국어 |
195 |
E-BOOK
|
39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演劇運動의 新段階: 羅雄《朝鮮中央日報》1934 |
나웅 |
한국어 |
201 |
E-BOOK
|
40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新劇樹立의 展望: 柳致眞《東亞日報》1934.1.6~12 |
유치진 |
한국어 |
213 |
E-BOOK
|
41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第七回劇硏公演『櫻花園』을 보고: 安英一《東亞日報》1934 |
안영일 |
한국어 |
218 |
E-BOOK
|
42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演劇의 大衆化: 朴南秀《朝鮮中央日報》1935.11.9~13 |
박남수 |
한국어 |
223 |
E-BOOK
|
43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劇文化樹立途程: 咸大勳《朝鮮日報》1935.1.1~5 |
함대훈 |
한국어 |
229 |
E-BOOK
|
44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創作戱曲振興을 위하야: 柳致眞《朝鮮日報》1935.8.3~6 |
유치진 |
한국어 |
235 |
E-BOOK
|
45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飜譯劇上演에 對한 私考: 柳致眞《朝鮮日報》1935.8.7~8 |
유치진 |
한국어 |
240 |
E-BOOK
|
46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語의 整理와 人間에 對한 硏究: 柳致眞《朝鮮日報》1936 |
유치진 |
한국어 |
243 |
E-BOOK
|
47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劇文學建設의 길: 朴英鎬《東亞日報》1936.4.2,7,9,10 |
박영호 |
한국어 |
249 |
E-BOOK
|
48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노-벨文學授賞者 유-진 오닐斷想: 金珖燮《東亞日報》1936 |
김광섭 |
한국어 |
255 |
E-BOOK
|
49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新劇樹立과 「觀衆本位」 問題: 李石薰《東亞日報》1936 |
이석훈 |
한국어 |
263 |
E-BOOK
|
50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劇硏에 보내는 말: 金一劒《東亞日報》1936 |
김일검 |
한국어 |
269 |
E-BOOK
|
51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浪漫主義 演出體系: 朱永涉《幕》2호, 1937 |
주영섭 |
한국어 |
273 |
E-BOOK
|
52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演出論: 朴東根《幕》3호, 1937 |
박동근 |
한국어 |
278 |
E-BOOK
|
53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演劇의 本質: 李海浪《幕》3호, 1937 |
이해랑 |
한국어 |
281 |
E-BOOK
|
54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言語의 劇藝術的 地位: 崔圭弘《東亞日報》1937 |
최규홍 |
한국어 |
285 |
E-BOOK
|
55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新劇運動에 對한 나의 構圖: 柳致眞《三千里》81호, 1937.1 |
유치진 |
한국어 |
287 |
E-BOOK
|
56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劇藝術協會」에 보내는 公開狀: 申不出《三千里》81호, 1937.1 |
신불출 |
한국어 |
296 |
E-BOOK
|
57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舞臺裝置의 態度: 趙字植《幕》2호, 1937 |
조자식 |
한국어 |
303 |
E-BOOK
|
58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演劇의 「재미」를 爲한 小考: 金兌鎭《映畵演劇》1호, 1939.1 |
김태진 |
한국어 |
306 |
E-BOOK
|
59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解題] |
차범석 |
한국어 |
311 |
E-BOOK
|
61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1901~1919年 映畵史資料選《皇城新聞》《帝國新聞》《大韓每日申報》《每日申報》《萬歲報》 |
- |
한국어 |
323 |
E-BOOK
|
62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解說에 對한 나의 淺見: 金永煥《每日申報》1925.1 |
김영환 |
한국어 |
330 |
E-BOOK
|
63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界一年: 李龜永《東亞日報》1926.12 |
이구영 |
한국어 |
332 |
E-BOOK
|
64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談叢: 李紅園《每日申報》1924.8 |
이홍원 |
한국어 |
335 |
E-BOOK
|
65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아리랑』(六卷)映畵評: 金乙漢《東亞日報》1926.10 |
김을한 |
- |
339 |
E-BOOK
|
66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映畵界現狀《東亞日報》1927 |
- |
한국어 |
340 |
E-BOOK
|
67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키네마特作『금붕어』를 보고: 克生《東亞日報》1927 |
극생 |
한국어 |
342 |
E-BOOK
|
68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錄音凉話 映畵?野球 其他: 金永八《東亞日報》1928 |
김영팔 |
한국어 |
344 |
E-BOOK
|
69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玉女』의 試寫를 보고: H生《東亞日報》1928 |
- |
한국어 |
346 |
E-BOOK
|
70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平壤시네마作 『椿姬』를 보고: R生《東亞日報》1928 |
- |
한국어 |
347 |
E-BOOK
|
71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民衆과 映畵: 金潤雨《東亞日報》19289 |
김윤우 |
한국어 |
348 |
E-BOOK
|
72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發聲映畵의 國産問題: 朴完植《東亞日報》1929 |
박완식 |
한국어 |
352 |
E-BOOK
|
73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映畵界展望: 朴光均《東亞日報》1929 |
박광균 |
한국어 |
356 |
E-BOOK
|
74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解說에 對한 片感: 金潤雨《東亞日報》1929 |
김윤우 |
한국어 |
358 |
E-BOOK
|
75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漫談: 李慶孫《東亞日報》1929 |
이경손 |
한국어 |
362 |
E-BOOK
|
76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서울키노映畵『火輪』에 對한 批判: 林和《朝鮮日報》1931 |
임화 |
한국어 |
365 |
E-BOOK
|
77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토-키의 歌劇化: 丁來東《朝鮮日報》1931 |
정래동 |
한국어 |
370 |
E-BOOK
|
78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一九三一年에 直面한 映畵運動의 緊急問題: 李圭卨《朝鮮日報》1931 |
이규설 |
한국어 |
373 |
E-BOOK
|
79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開化黨』의 映畵化: 羅雲奎《三千里》1931.11 |
나운규 |
한국어 |
378 |
E-BOOK
|
80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演藝界散步 『紅焰』映畵化 其他: 沈熏《東光》38호, 1932.10 |
심훈 |
한국어 |
381 |
E-BOOK
|
81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最近의 朝鮮映畵界: 徐光霽《東亞日報》1932.1.30~2.3 |
서광제 |
한국어 |
384 |
E-BOOK
|
82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映畵는 어대로 가고 마는가: 李靑映《東亞日報》1932 |
이청영 |
한국어 |
389 |
E-BOOK
|
83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興行界: 韓鼓《東亞日報》1932 |
한고 |
한국어 |
390 |
E-BOOK
|
84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劇界漫步: 金星《東亞日報》1932 |
김성 |
한국어 |
392 |
E-BOOK
|
85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藝術運動의 新方向: 金幽影《朝鮮日報》1932 |
김유영 |
한국어 |
393 |
E-BOOK
|
86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眞摯한 技術家의 出現과 各自力量의 總集結: 朴哲民《朝鮮日報》1934 |
박철민 |
한국어 |
401 |
E-BOOK
|
87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噫 朝鮮映畵界: 朱一光《朝鮮日報》1933 |
주일광 |
한국어 |
405 |
E-BOOK
|
88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批判과 脚本: 徐光霽《東亞日報》1933 |
서광제 |
한국어 |
407 |
E-BOOK
|
89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藝術 構成問題: 朴哲民《朝鮮日報》1933.10.25~11.1 |
박철민 |
한국어 |
419 |
E-BOOK
|
90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아름다운 犧牲』을 보고: 金幽影《東亞日報》1933.5.25 |
김유영 |
한국어 |
428 |
E-BOOK
|
91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映畵人 언파레드: 沈熏《東光》23호, 1931.7 |
심훈 |
한국어 |
432 |
E-BOOK
|
92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劇映事業에 着目한 資源進出의 急先務: 安鍾和《朝鮮日報》1934.6.21,22 |
안종화 |
한국어 |
442 |
E-BOOK
|
93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民衆敎化에 偉大한 任務와 演劇과 映畵事業을 하라: 沈熏《朝鮮日報》1934.5.30,31 |
심훈 |
한국어 |
445 |
E-BOOK
|
94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映畵界를 論함: 咸大勳《朝鮮日報》1935.5.6 |
함대훈 |
한국어 |
447 |
E-BOOK
|
95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映畵監督官: 徐光霽《三千里》1935.4 |
서광제 |
한국어 |
449 |
E-BOOK
|
96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金剛키네마作品 ″靑春의 十字路″를 보고: 李圭煥《朝鮮日報》1934.9.28,30,10.2 |
이규환 |
한국어 |
452 |
E-BOOK
|
97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에 잇서서 映畵製作事業의 將來性: 李圭煥《朝鮮日報》1935.7.6 |
이규환 |
한국어 |
455 |
E-BOOK
|
98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이 適切한 慾求의 歸趨는 어데로?: 李軒求《朝鮮日報》1934 |
이헌구 |
한국어 |
458 |
E-BOOK
|
99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春風』을 보고: 徐光霽《東亞日報》1935.12.5~12 |
서광제 |
한국어 |
461 |
E-BOOK
|
100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朴基采氏 第一回 『春風』을 보고서: 沈熏《朝鮮日報》1935.12.7 |
심훈 |
한국어 |
468 |
E-BOOK
|
101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映畵의 압길을 위한 數語: A生《朝鮮日報》1935.5.8,9,12,15 |
- |
한국어 |
470 |
E-BOOK
|
102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映畵界와 朝鮮映畵: 安夕影《朝鮮日報》1935.1.1 |
안석영 |
한국어 |
475 |
E-BOOK
|
103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藝術映畵製作과 興行本位映畵의 將來: 安鍾和《朝鮮日報》1935.7.6~7 |
안종화 |
한국어 |
477 |
E-BOOK
|
104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다시금 本質을 究明하고 映畵의 常道에로: 沈熏《朝鮮日報》1935.7.13,14,17 |
심훈 |
한국어 |
479 |
E-BOOK
|
105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一年의 槪觀的 回顧: 朴基采《朝鮮日報》1935.12.12~14 |
박기채 |
한국어 |
483 |
E-BOOK
|
106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中央映畵社作品 『撒水車』(全九卷): 인돌《東亞日報》1935 |
인돌 |
한국어 |
488 |
E-BOOK
|
107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中央映畵社作品 『撒水車』를 보고서: 三悟生《朝鮮日報》1935.3.28 |
삼오생 |
한국어 |
489 |
E-BOOK
|
108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科學的 映畵藝術論: 朴基采《朝鮮日報》1934.9.11~23 |
박기채 |
한국어 |
490 |
E-BOOK
|
109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藝術의 構成法: 朴基采《朝鮮日報》1935.4.28~5.7 |
박기채 |
한국어 |
499 |
E-BOOK
|
110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떠글러스는 十年 前 人間描寫의 길로: 羅雲奎《朝鮮日報》1935.7.6 |
나운규 |
한국어 |
514 |
E-BOOK
|
111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 토-키-『春香傳』을 보고: 夕影《朝鮮日報》1935.10.11~13 |
- |
한국어 |
516 |
E-BOOK
|
112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朝鮮最初의 發聲映畵『春香傳』을 보고: 인돌《東亞日報》1935.10.11,12,16 |
인돌 |
한국어 |
521 |
E-BOOK
|
113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名俳優?名監督이 모여 「朝鮮映畵」를 말함(座談): 羅雲奎(外)《三千里》79호, 1936.11 |
나운규 |
한국어 |
525 |
E-BOOK
|
114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의 文學的 考察: 朴基采《朝鮮日報》1936.5.8~12 |
박기채 |
한국어 |
539 |
E-BOOK
|
115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文藝映畵의 期待: 咸大勳《朝鮮日報》1936.5.9 |
함대훈 |
한국어 |
546 |
E-BOOK
|
116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아리랑』을 만들 때: 羅雲奎《朝鮮日報》1호, 1936.11 |
나운규 |
한국어 |
548 |
E-BOOK
|
117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名優 羅雲奎氏 『아리랑』等 自作 全部를 말함: 羅雲奎《三千里》81호, 1937.1 |
나운규 |
한국어 |
551 |
E-BOOK
|
118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時感: 羅雲奎《三千里》81호, 1937.1 |
나운규 |
한국어 |
558 |
E-BOOK
|
119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映畵 와 演劇』協議會(座談): 李龜永(外) 《三千里》96호, 1938.5 |
이구영 |
한국어 |
559 |
E-BOOK
|
120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羅雲奎一代記: 尹逢春《映畵?演劇》1호, 1939.4 |
윤봉춘 |
한국어 |
566 |
E-BOOK
|
121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解題] |
유현목 |
한국어 |
579 |
E-BOOK
|
123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鳳山脫舞와 平壤各靑年團體의 輿論: 平壤支局記者《東亞日報》1921.10.23 |
- |
한국어 |
585 |
E-BOOK
|
124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裵龜子孃의 音樂舞踊을 보고: 妄言者《每日申報》1928 |
망언자 |
한국어 |
587 |
E-BOOK
|
125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崔承喜의 第一回公演: 門外漢《東亞日報》1930.2.5 |
문외한 |
한국어 |
588 |
E-BOOK
|
126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處容考에 對하야: 安自山《朝鮮日報》1931 |
안자산 |
한국어 |
589 |
E-BOOK
|
127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民俗藝術의 紹介에 對하야: 宋錫夏《東亞日報》1934 |
송석하 |
한국어 |
599 |
E-BOOK
|
128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南朝鮮假面劇의 復興氣運: 宋錫夏《東亞日報》1934 |
송석하 |
한국어 |
604 |
E-BOOK
|
129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舞踊藝術의 創造的 意義: 朴哲民《朝鮮日報》1934.2.4~15 |
박철민 |
한국어 |
613 |
E-BOOK
|
130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民俗劇 『東萊野遊』: 宋錫夏《東亞日報》1935.3 |
송석하 |
한국어 |
621 |
E-BOOK
|
131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나와 舞踊과 社會: 趙澤元《朝鮮中央日報》1936.1.1 |
조택원 |
한국어 |
623 |
E-BOOK
|
132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舞踊과 生活: 朴永仁《東亞日報》1936 |
박영인 |
한국어 |
624 |
E-BOOK
|
133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新羅의 ?猊와 北靑의 獅子: 宋錫夏《東亞日報》1936 |
송석하 |
한국어 |
629 |
E-BOOK
|
134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巴里見聞: 趙澤元《朝鮮日報》1938.9.9 |
조택원 |
한국어 |
634 |
E-BOOK
|
135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歐洲에서의 崔承喜: 金載元《朝鮮日報》1939.3.14 |
김재원 |
한국어 |
636 |
E-BOOK
|
136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춤추는 朝鮮』動亂의 歐洲를 避해: 崔承喜《朝鮮日報》1940.1.27 |
최승희 |
한국어 |
639 |
E-BOOK
|
137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어린이와 춤: 咸貴泰《朝鮮日報》1940.7.16 |
함귀태 |
한국어 |
641 |
E-BOOK
|
138 |
한국예술총집 연극·영화·무용편Ⅰ |
[解題] |
김백봉(김충실) |
한국어 |
643 |
E-BOO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