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visual

회원 상세보기

문학 분과 다른 회원 보기 이동
유고회원
문덕수

문덕수(文德守, Mun Doksu)

분과
문학
분야
출생지
경남 함안
입회연도
1993
작고일
2020-03-13

상훈

  • 1983.12 국민포장 대통령상
  • 1985 PEN문학상
  • 1991.10 대한민국 文化藝術賞
  • 1993.05 弘益大學 근속 30년 表彰
  • 1994 국민훈장 목련장
  • 1997 서울시 문화상
  • 2000 대한민국 문화훈장(은관)
  • 2002 대한민국예술원상(47회)
  • 2006 청마문학상
  • 2013 이설주 문학상

주요 작품 및 예술활동

  • 1956 시집「황홀(恍惚)」
  • 1966 시집「선(線), 공간(空間)」
  • 1968 시집「본적지」(김종삼, 김광림 3인 연대시집)
  • 1969 평론집「현대문학의 모색」
  • 1975 시집「새벽바다」
  • 1976 시집「영원한 꽃밭」
  • 1980 시집「살아남은 우리들만이 다시 6월을 맞아」
  • 1982 시집「다리 놓기」
  • 1982 연구서「한국모더니즘시연구」
  • 1983 시선집(문덕수 시선)
  • 1985 시집「조금씩 줄이면서」,「태평양 연안 시집」(Anthology: Poets of the Pacific Countries)을 창간
  • 1986 문학 이론서「현실과 휴머니즘 문학」
  • 1986 시집「그대, 말씀의 안개」
  • 1988 시선집「꽃밭 속의 벤치」
  • 1990 시집「만남을 위한 알레그로」
  • 1991 한국시인100인선집「사라지는 것들을 위하여」, 시집「수로부인의 독백」
  • 1992 문학 이론서「문학일반의 이해」
  • 1993 연구서「시론」
  • 1994 시집「사라지는 것들과의 만남」
  • 1997 시집「빌딩에 관한 소문」
  • 2002 시집「꽃입세기」
  • 2003 논서「모더니즘을 넘어서」
  • 2003 논저「니힐리즘을 넘어서」
  • 2003 일역시집「素描」(東京)
  • 2004 시선집「문덕수 시 99선」
  • 2004 영역시집「DRAWING LINES」(New Jersey)
  • 2004 전기「유치환평전」
  • 2006 「문덕수시전집」(시문학사)
  • 2009 장시「우체부」
  • 2010 시집「The Postman」
  • 2010 논저「한국시의 동서남북」
  • 2014 장시「우체부」스웨덴어 번역 출간
  • 2013.7.22 "라일락 향기: 한국대표명시선 100" (시인생각) 출간
  • 2013.10.21 우리 시 우리 노래 신작가곡음악회 (세종M씨어터)
  • 2014.4.15 "현실과 초월" (푸른사상) 출간
  • 2014.7.1 시집 "우체부" 스웨덴어로 번역 출간
  • 2014.11.1 "유심" 11월호 '11월 기획_원로 시인의 안부를 묻다' 신작시 및 근황 소개
  • 2015.10 "월간문학" 10월호 시 1편 게재
  • 2015.11 탁영완 시집 "시월 국화는 시월에 핀다더라" (두손컴) 해설
  • 2015.12 "한국현대시" 하반기호, 시 1편 게재
  • 2015.12 "예술가" 시 2편 게재
  • 2015.12 추계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시 작품 심사 및 심사기
  • 2016.10.22 월간 "시문학" 출신 시인 모임 <시문학문인회> 개최, 사화집 출판기념회 및 "시문학" 신인우수작품상 시상
  • 2016.01.29.~01.31 <제1회 그랜드 마스터 클래스 빅 퀘스천 2016> 강연
  • 2016.06.14 <제7회 이데일리 세계전략포럼(WSF)> 기조연설
  • 2016 아시아코스모폴리탄상 심사
  • 2017.1.14 정민호시인 등단 50주년기념 ‘정민호 대표시집’ 출판기념회 참석
  • 2017.3 “시와 경계” 2017년 봄호 신작시 수록
제12차 세계시인대회 환영연(1990. 올림피아 호텔) 광경. 문덕수 시인이 집행위원장으로서 초청, 조직,  운영 등 대회 전체를 관장했다. 존 앨린 진즈버그(미국), 안드레이 보즈네센스키(러시아),실킨(영국), 시라이시 카즈코(일본), 루카그바스렌(몽골)등 세계 각 국의 중요시인 250여 명, 국내 문인 400여 명 등이 참가해 성황을 이루었다.

설명

제12차 세계시인대회 환영연(1990. 올림피아 호텔) 광경. 문덕수 시인이 집행위원장으로서 초청, 조직, 운영 등 대회 전체를 관장했다. 존 앨린 진즈버그(미국), 안드레이 보즈네센스키(러시아),실킨(영국), 시라이시 카즈코(일본), 루카그바스렌(몽골)등 세계 각 국의 중요시인 250여 명, 국내 문인 400여 명 등이 참가해 성황을 이루었다.

목록

제12차 세계시인대회 환영연(1990. 올림피아 호텔) 광경. 문덕수 시인이 집행위원장으로서 초청, 조직,  운영 등 대회 전체를 관장했다. 존 앨린 진즈버그(미국), 안드레이 보즈네센스키(러시아),실킨(영국), 시라이시 카즈코(일본), 루카그바스렌(몽골)등 세계 각 국의 중요시인 250여 명, 국내 문인 400여 명 등이 참가해 성황을 이루었다.
국제펜클럽한국본부 회장에 당선된 직후에 개최한 「아시아 문학 서울 심포지엄」(1992. 아카데미 하우) 전숙희(국제펜 부회장), 구상, 조경희, 곽종원, 정희채(문교부 차관), 유네스코 관계자(파리) 이 밖에 일본, 중국 시인 등 아시아 각국의 시인들이 다수 참석했다.
펜문학상 시상식(1997)에 참석한 김남조(좌), 구상, 신낙균(문광부장관), 김종필(국무총리), 문덕수, 노순자(소설 수상자), 조경희, 김월준 내외(수상자), 안선재(서강대 교수).
청마문학상(수상자:허만하) 시상식에 참석한 시인들이 통영시의 청마문학관을 둘러보다. 좌로부터 김윤희, 신세훈(문협 이사장), 김규화, 문덕수, 서우승, 김춘수, 조영서, 김종길, 이근배, 함동선.(2004년)
꽃잎 세기 2002

꽃잎 세기 2002

니힐리즘을 넘어서 2003

니힐리즘을 넘어서 2003

라일락 향기 2013

라일락 향기 2013

모더니즘을 넘어서 2003

모더니즘을 넘어서 2003

문덕수 시선집 2006

문덕수 시선집 2006

청마 유치환평전 2004

청마 유치환평전 2004

하이퍼시의 방향 현실과 초월 2014

하이퍼시의 방향 현실과 초월 2014

한국시의 동서남북 2010

한국시의 동서남북 2010

회원의 대한민국예술원 활동내역을 나타내는 표로 참여년도,작품 및 예술활동,상세보기 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참여년도 작품 및 예술활동 상세보기
2018년 대한민국예술원 문학 상세보기
2016년 대한민국예술원 문학 상세보기
2002년 대한민국예술원 대한민국예술원상 상세보기
1998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1997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1995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회원의 간행물 내역을 나타내는 표로 간행물명, 목차명, 상세보기 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간행물명 목차명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9호 빌딩에 관한 소문·4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8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7 隨筆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5 評論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3 評論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7호 아내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7호 요셉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7호 매미 소리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7호 밀양 박씨 우리 어머니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6호 지푸라기 한 잎, 숨 모리분두스-청마에게, 꽃자리, 두 발, 쥐의 눈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4호 빨간 사과, 외짝 하이힐에 대하여, 목련, 물 한 방울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2호 자세, 쌈지공원, 산꾼들, 모자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1호 기중기, 작품(7), 상실, 죽전을 찾아, 이름없는 얼굴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0호 『난중일기』의 구조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9호 이육사, 사진, 점층법, 아기 젖똥, 예삿일 아니지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8호 작품(1)외 4편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6호 종교에 관한 詩論 斷想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3호 월정리역 철마 외 2편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0호 느티나무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0호 別詞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0호 跏趺坐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39호 餘白의 詩學 상세보기
한국예술총집·문학편Ⅳ 柳致環論ㆍ청마에 대한 몇가지 생각 상세보기
예술논문집 제39집 문학사의 키워드로서의 自己/他者 관계: 특히 한국현대문학사와 관련하여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