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visual

회원 상세보기

문학 분과 다른 회원 보기 이동
유고회원
이어령

이어령(李御寧, Lee O-young)

분과
문학
분야
평론
출생지
충남 아산
입회연도
1994
작고일
2022-02-26

상훈

  • 1979 대한민국예술상
  • 1989 체육훈장 맹호장
  • 1992 청조근정훈장
  • 2001 서울시 문화상
  • 2003 대한민국예술원상
  • 2006 자랑스런 서울대인상
  • 2007 3.1 문화상
  • 2008 만해대상
  • 2020 광화문 문화예술상
  • 2021 금관문화훈장

주요 작품 및 예술활동

  • 1955 「종합국문연구」, 환상곡-배반과 범죄
  • 1959 「저항의 문학」
  • 1960 「지성의 오솔길」
  • 1962 「고독한 군중」
  • 1963 「오늘을 사는 세대」
  • 1965 「바람이 불어오는 곳」
  • 1966 「장군의 수염/전쟁 데카메론」
  • 1967 「유형지의 아침」
  • 1968 「한국과 한국인」(1~6권)
  • 1969 「흙속에 저 바람속에」, 소설「환각의 다리」
  • 1971 「세계문장대백과사전」(1~5권)
  • 1971 수필집「현대인의 잃어버린 것 들」
  • 1971 포토에세이「지금은 몇시인가」
  • 1972 「한국인의 신화」
  • 1973 「한국인의 재발견」
  • 1976 「현대휴매니스트의 고백」
  • 1977 「이어령 신작전집」(1~10권)
  • 1977 「환각의 다리」
  • 1978 裵康煥(역), 東京 : 學生社
  • 1978 「恨の文化論」(韓國人の心の底にあるもの)
  • 1980 「이어령 대표에세이집」(상·하)
  • 1982 「‘縮み’ 志向の日本人」
  • 1982 「축소지향의 일본인」
  • 1982 「韓國人の心」((增補)恨の文化論), 裵康煥(역)
  • 1984 「둥지 속의 날개」
  • 1985 「고전을 읽는 법」
  • 1986 「이어령전집」(1~20권)
  • 1986 「지성의 오솔길」
  • 1986 「지성채집」
  • 1987 「세 번은 짧게 세 번은 길게」
  • 1990 「한국문학연구사전」
  • 1992 「이것이 한국이다」
  • 1993 「둥지 속의 날개」(상·하)
  • 1995 「이어령 대표작품선집」
  • 1996 「한국인의 신화」
  • 2000 「공간의 기호학」
  • 2001 「상상력의 거미줄」생각의 나무
  • 2004 「이어령의 라이브러리」(전30권)
  • 2005 한중일 문화코드 읽기-비교문화상징사전
  • 2005 「가위 바위 보의 문명론」(일본, 신조사)
  • 2005 <매화>, <소나무>-이어령 책임 편찬(종이나라)
  • 2006 「디지로그」
  • 2008 「 젊음의 탄생」
  • 2009 「생각」
  • 2010 「지성에서 영성으로」, 어머니를 위한 여섯가지 은유
  • 2011 빵만으로는 살 수 없다
  • 2012 「우물을 파는 사람」
  • 2013.1.18 문화관광연구원 주최 국제소통문화포럼 2013 기조강연 (코엑스)
  • 2013.2.6 세종학당 한국어․한국문화 명사 기조강연: ‘한국 말 속에 담긴 창조의 힘’
  • 2013.3 이어령의 80초 생각나누기, 생명이 자본이다
  • 2013.3.6 (사)부산박물관회 특강: ‘생명자본주의’ (부산박물관)
  • 2013.3.22 아시아 창의리더십 포럼 기조연설: ‘문명 패러다임의 전환’ (서울대 미술관 MOA)
  • 2013.4.3 배재대학교 한류문화산업대학원 특강: ‘이제 생명의 시대가 온다’
  • 2013.4.24 제45회 한일경제협회 특강
  • 2013.5.31 고려대학교 학문소통연구회 명사 초청강연
  • 2013.6.12 국채보상운동기념관 초청 특강: ‘왜 지금 생명을 말하는가’
  • 2013.7.4 2013도쿄국제도서전 좌담: ‘디지털 시대, 왜 책인가?’_이어령vs다치바나 다카시
  • 2013.7.5 2013도쿄국제도서전 초청 특강: ‘한류문화의 힘은 어디서 오는가’
  • 2013.7.18 제20회 KOITA 기술경영인 하계포럼 특강: ‘지식사회의 위기와 인문학’
  • 2013.8.21 토지문학상 심사
  • 2013.9.10 "젊음의 탄생" 개정판 (마로니에북스) 출간
  • 2013.10.8 2013데이터베이스 그랜드컨퍼런스 기조강연: ‘데이터-정보-지식-지혜 모델의 새로운 판짜기’
  • 2013.10.24 2013미래유망기술세미나 특강: ‘디지로그 기술과 미래 창조기술’
  • 2013.10.29 2013동리목월문학상 심사
  • 2013.11.20 "지성에서 영성으로" 개정판 (열림원) 출간
  • 2013.12.15 「생명이 자본이다」 (마로니에북스) 출간
  • 2013.12.20 국제융합학술대회 ‘한중일 문화 속의 말’ 기조강연
  • 2014.1.19 KBS 1TV <신년특집 한국 한국인> 출연
  • 2014.1.25 KBS 1TV 출연: ‘대한민국 대표 석학 이어령이 전하는 생명자본주의’
  • 2014.2 KAIST 미래전략연구센터 포럼 특강: ‘창조적 상상력과 미래전략’(한국프레스센터)
  • 2014.3 제80회 한국경영인포럼 특강: ‘생명이 자본이다’ (롯데호텔)
  • 2014.4.3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경영원 제17회 IMI 최고경영자 신춘포럼 특강<더 나은 미래! 우리 기업의 선택은?>
  • 2014.4 SK본사 임직원대상 특강: ‘생명자본주의’(SK본사)
  • 2014.5.9 한국언론문화포럼 창립 1주년 기념 제8차 세미나 초청 특강<언론과 문화는 어떻게 만나야 하나>
  • 2014.5.16 2014 세종학당 국제포럼 기조 강연 <세계 속의 한국말의 힘>
  • 2014.5.20 <서울대학교 글쓰기 교실> 저자 특강 <이어령 석좌교수가 들려주는 창조적 상상력과 글쓰기>
  • 2014.7.16 과학기술포럼 월례토론회 200회 기념 대토론회‘나라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기조 강연 (한국과학기술회관)
  • 2014.8.4 「읽고 싶은 이어령」 (여백) 출간, 「소설로 떠나는 영성순례」
  • 2014.9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오픈 아카데미 특강: ‘디지털에 담긴 한국적 문화 DNA’(국립중앙도서관)
  • 2014.9.15 "짧은 이야기, 긴 생각" (시공미디어) 출간
  • 2014.9.26 제4회 박경리문학상 심사
  • 2014.9.30 미래창조과학부 ‘2014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기조 강연: ‘데이터 시대! 창조와 혁신을 넘어서’ (코엑스 그랜드볼룸)
  • 2014.10.8 "소설로 떠나는 영성순례" (포이에마) 출간
  • 2014.10.21 "뜨자, 날자 한국인" (푸른숲) 출간
  • 2014.11.25 제17회 동리문학상 심사
  • 2014.11.5~11.8 2014 한중창조도시문화대전 기조 강연 <동방지혜의 가치와 패러다임>
  • 2014.11.2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개원 12주년 세미나 기조 연설 <새로운 지정학과 한반도의 통일 패러다임>
  • 2014.12.5~12.6 제6회 세계번역가대회 <한국문학번역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기조 강연
  • 2015.5.16.~5.17 <2015국회도서관 북 페스티벌> ‘우리 시대 지성인과의 대화’ 참석
  • 2015.5.29 <21세기 인문가치포럼 2015> 개막식 기조 강연 (안동 문화예술의전당)
  • 2015.6.4 "딸에게 보내는 굿나잇 키스" (열림원) 출간
  • 2015.8.17 "이어령의 가위바위보 문명론" (마로니에북스) 출간
  • 2015.8.22~10.31 KBS 1TV 광복 70년, 미래 30년 특별기획 10부작 ‘이어령의 100년 서재’ 방영
  • 2015.9.15 "언어로 세운집" (아르테) 출간
  • 2015.10.15 <세계문자심포지아2015-가가호호 문자> 기조 연설
  • 2015.10.23 ‘2015자문밖 문화축제-문화가 힘이다’ 주제특강(가나아트센터)
  • 2015.10.21 2015게임사전 포럼 기조강연(이화여자대학교)
  • 2015.10.23 "이어령의 보자기 인문학" (마로니에북스) 출간
  • 2015.11.10 "젓가락페스티벌2015청주" 젓가락 특별전 참석
  • 2016 보자기인문학
  • 2017.1.21 <그랜드 마스터 클래스 빅퀘스천 2017> 강연 ‘언어의 힘으로 내일을 바꿀 수 있는가’
  • 2017.2.7 순복음교회 강연 ‘21세기 영성’
  • 2017.2.23 이효석 탄생 11주년 정본 전집 출판기념회 참석 및 축사
  • 2017.3.17 <제주 제4회 전기자동차 엑스포> 행사 참여
  • 2017.3.28 <2017 스프링 컨퍼런스>에서 기조강연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우리 기업의 대응 전략’
  • 2017.4.1 커넥트재단 강연 ‘소프트웨어가 변화시킬 미래의 삶, 그리고 그 준비의 필요성’
  • 2017.4.18 김소희 탄생 100주년 기념 헌정공연 참여
  • 2017.4.25 BBB컨퍼런스 기조강연 ‘AI시대에 인간이 할 수 있는 것 : 번역은 기계가 할 수 없다’
  • 2017.5.12 <지용제 30주년기념 축하행사 서울나들이> 참석
  • 2017.5.12 <대한병원협회 제58차 정기총회 및 학술세미나> 개회식 강연 ‘AI 시대의 생명관’
  • 2017.5.16 <자율주행차 국제 페스티벌 2017>에서 강연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자동차의 과거와 미래’
  • 2017.5.18 건양대 명사초청 특강 ‘AI시대, 인간은 무엇을 할 수 있나’
  • 2017.5.23 문구의 날 기념식 참여 및 강연
  • 2017.5.25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문화의 달 행사 참여
  • 2017.6.01 리더십 특강 ‘AI시대 리더의 역할 변화’(아산병원)
  • 2017.6.23 동국대 국제학술심포지엄 기조강연 ‘AI시대와 아시아의 공유가치, 생명’
  • 2017.6.26 Krnet 강연 ‘AI 시대 맞이하기(부제: 새 문명 속 한국인의 잠재력)’
  • 2017.10.26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선생님 감사편지 쓰기 공모전 심사위원장
  • 2017.12.5 눈높이 아동문학상 시상식 참여
  • 2017.12.12 하이트진로음료 출시발표회 참석
  • 2018.1.26 겸재정선미술관 강연 ‘보자기 인문학’
  • 2018.1.27 그랜드마스터클래스 ‘4차 산업혁명 시대, 나는 누구인가?’
  • 2018.2.7 뉴욕타임즈 평창올림픽 인터뷰
  • 2018.2.8~ 7.19 시공테크 <2020 두바이 EXPO> 경쟁 PT공동연구 컨설팅
  • 2018.3.20 HRD KOREA 기조강연
  • 2018.3.27.~7.3 불교방송 향가 5편 촬영
  • 2018.3.28 청산포럼 강연 <서울 올림픽과 평창동계올림픽 - 달라진 문명 읽기>
  • 2018.4.2 CJ K VALLEY 테마파크 자문
  • 2018.5.14 박물관인상 시상식 참석
  • 2018.5.15 문구의날 기념식 시상 및 격려사
  • 2018.5.23 영산대 부산 해운대 캠퍼스 학술대회 기조강연 <시대를 넘어서: 창의력과 상상력>
  • 2018.5.27 김세중 미술관 심사
  • 2018.6.8 아스펜테크 포럼 강연 <4차산업혁명시대, 나는 누구인가?>
  • 2018.6.22 EBS라디오 <북카페> 명사초대석 출연
  • 2018.6.25 김세중조각상 김세중 미술관(예술의 기쁨) 참석
  • 2018.7.26 박경리문학상위원회 수상자 확정 회의
  • 2018.8.18 한국현대문학회강연 <계몽과 비평>
  • 2018.9.14 “세계시민의 인천공항” 캠페인 선포식 축사
  • 2018.9.15 한·중·일 세미나
  • 2018.9.17 88올림픽 30주년 기념식 스피치
  • 2018.10.2 주간조선 창간 50주년 기념 인터뷰
  • 2018.10.5 영인문학관 전시 오프닝
  • 2018.10.13 자문밖포럼 <작가와의 대담>
  • 2018.10.16 <아리랑 프라임> 젓가락 2부작 다큐멘터리 인터뷰
  • 2018.11.20 중앙대 100주년 강연
  • 2018.11.21 소월·경암 문학예술기념관 보존용 손도장 핸드페인팅
  • 2018.11.23 중앙대 국제대학원 통번역학술대회 강연 <번역인가 반역인가>
  • 2018.11.27 서울특별시 프로젝트 <서울은 미술관> QR코드 영상 인터뷰
  • 2018.12.8 국립중앙박물관 공연 <대장경> 김홍신 대담
  • 2018.12.10 세종대왕 즉위 600주년 기념 강연
  • 2018.12.11 KBS 제1라디오 <정관용의 ‘지금 이 사람’>에 신년특집 녹음
  • 2018.12.13 교육시설재난공제회 강연 <도전, 열정, 혁신, 역경을 이겨낸 힘>
  • 2018.12.20 서울신문 신년 인터뷰 <돼지>
2016년 7월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혜화아트센터에서 열린 ‘김승옥 무진기행 그림전’을 찾아 축사를 하고 있다. 소설 ‘무진기행’으로 유명한 작가 김승옥의 이번 그림전시회는 갑작스런 뇌졸중으로 잃어버린 말과 글 대신 김 작가 그림으로 표현한 삶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였다.

설명

2016년 7월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혜화아트센터에서 열린 ‘김승옥 무진기행 그림전’을 찾아 축사를 하고 있다. 소설 ‘무진기행’으로 유명한 작가 김승옥의 이번 그림전시회는 갑작스런 뇌졸중으로 잃어버린 말과 글 대신 김 작가 그림으로 표현한 삶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였다.

목록

2016년 7월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혜화아트센터에서 열린 ‘김승옥 무진기행 그림전’을 찾아 축사를 하고 있다. 소설 ‘무진기행’으로 유명한 작가 김승옥의 이번 그림전시회는 갑작스런 뇌졸중으로 잃어버린 말과 글 대신 김 작가 그림으로 표현한 삶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였다.
문학사상사 초청 , 로보그리에 프랑스 소설가와의 대담 모습
제 1회 이상문학상 시상식, 고 백철 문학평론가와 함께 찍은 사진 1977년
문학사상사 주간으로 있을 당시 25시 작가 게오르규 초청
-그 때 한무숙, 고 김진형 선생님 댁에서 이어령교수와 강인숙 사모님, 게오르규 작가 부부와 함께 찍은 사진 1974. 3월
문학사상사 이상문학상 시상식때 서정주 이병주 선생님과 함께 찍은 사진
문학사상 주간 당시 집필모습 , 적선동 문학사상사 집무실에서 1980 년
<생의 한가운데> 독일 루이제 린저 작가 내한시 함께 서예발표전 관람하는 모습 1975년
한일문화교류 심포지움 기조강연으로 일본 교토 도시샤 대학 방문시 윤동주 시비를 관람하는 모습 2004. 12. 4.
마인드스포츠올림피아드 창립대회 초청 강연 1999. 5. 3. 조선호텔 그랜드볼륨
읽고 싶은 이어령 2021

읽고 싶은 이어령 2021

이어령, 80년 생각 2021

이어령, 80년 생각 2021

딸에게 보내는 굿나잇 키스 2021

딸에게 보내는 굿나잇 키스 2021

한국인 이야기 2020

한국인 이야기 2020

축소지향의 일본인

축소지향의 일본인

딸에게 보내는 굿나잇 키스 2015

딸에게 보내는 굿나잇 키스 2015

어느 무신론자의 기도 2016

어느 무신론자의 기도 2016

우물의 파는 사람 2012

우물의 파는 사람 2012

이어령의 가위바위보 문명론 2015

이어령의 가위바위보 문명론 2015

읽고 싶은 이어령 2014

읽고 싶은 이어령 2014

지성에서 영성으로 2017

지성에서 영성으로 2017

짧은 이야기 긴 생각 2014

짧은 이야기 긴 생각 2014

흙속에 저 바람 속에 2008

흙속에 저 바람 속에 2008

회원의 대한민국예술원 활동내역을 나타내는 표로 참여년도,작품 및 예술활동,상세보기 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참여년도 작품 및 예술활동 상세보기
2021년 대한민국예술원 문학 상세보기
2020년 대한민국예술원 문학 상세보기
2018년 대한민국예술원 문학 상세보기
2016년 대한민국예술원 문학 상세보기
2010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2010년 대한민국예술원 국제교류 상세보기
2009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2008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2007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2007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2003년 대한민국예술원 대한민국예술원상 상세보기
2001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1999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1998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1997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1996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회원의 간행물 내역을 나타내는 표로 간행물명, 목차명, 상세보기 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간행물명 목차명 상세보기
예술논문집 제38집 時調와 俳句를 통해서 본 한일문학의 특성: 매미 개구리 가마귀의 시적 공간 상세보기
예술논문집 제34집 靑馬의 <旗 빨>과 隱喩的공간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