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visual

회원 상세보기

음악 분과 다른 회원 보기 이동
유고회원
성경린

성경린(成慶麟, Sung Kyungrin)

분과
음악
분야
국악
출생지
서울
입회연도
1954
작고일
2008-03-05

상훈

  • 1956 국악진흥회 제1회 국악상
  • 1958.08.15 공보실 제1회 放送文化賞 (음악부문)
  • 1960.11.21 서울특별시 문화상(음악)
  • 1962.08.15 대한민국 紅條素星勳章
  • 1963.08.15 대한민국 문화포상
  • 1968.07.17 대한민국 예술원상(음악)
  • 1972.09.28 대한민국 국민훈장 모란장
  • 1990.10.20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 1997.05.09 제1회 세종대왕 600돌 대상
  • 1998.11.19 방일영 국악상
  • 2004.12 대한민국 예술원 개원 50주년 기념 공로상

주요 작품 및 예술활동

  • 1932 [국내활동] 이왕직 아악부 이습회(~1945)
  • 1946.03 [국내활동] 서울 중앙방송국 국악감상 해설
  • 1946.07 [국내활동] 가람 이병기, 소남 이주환과 함께 시조연구회 결성
  • 1947 [저서] 「조선음악독본」, 「조선의 아악」
  • 1948.01 [국내활동] 장사훈, 나운영과 함께 민족음악 연구회
  • 1948.05 [국내활동] 거문고 음악의 감상법(국악 연구 발표회)
  • 1948.09 [국내활동] 이혜구, 장사훈과 함께 국악연구발표회(현, 한국국악학회)
  • 1949 [저서] 수상집 「雅樂」
  • 1949 「조선의 민요」(국제음악문화사)
  • 1949 수상집「아악」(은하출판사, 재판)
  • 1952 [저서] 「국악개론」(국사편찬위원회)
  • 1952 [저서] 「국악개설」(국민사상 연구원)
  • 1955 국악 시시 비비(동아일보)
  • 1955 국악악기 얘기「음악」(국민음악연구회, ~1956)
  • 1955.02.04 오늘의 국악과 그 가는 길, “국악의 현상과 그 장래“(연합신문)
  • 1955.04 [국내활동] 국악이론 강의(국악사 양성소, 국립 국악고등학교, ~1977.02)
  • 1956 [국내활동]국립국악원 국악 삼상회(~1970)
  • 1956.10.17 전진 없는 국악-전 곡목의 녹음이 시급하다-(서울신문)
  • 1957 역대 악제 소고「문리학보」
  • 1957.07.10 국립극장과 국악-환도의 혜택은 국악에도 있어야-(서울신문)
  • 1957.10.30 학생국악의 발전-중·고·대 국악경연을 보고-(한국일보)
  • 1957.11.05 국악유산을 보호자하자-후회를 백년 뒤에 남기지 않기 위하여-(서울신문)
  • 1958 국악「대백과사전」권1(학원사)
  • 1958 서울의 속가「향토 서울」제2호(서울시사 편찬위원회)
  • 1958.03 [국내활동] 한국무용의 실태(국악학회)
  • 1958.03.12 국립극장과 국극-국극위원회 설치를 촉구한다.-(서울신문)
  • 1958.05.28 안테나, “음악인의 책무“(서울신문)
  • 1958.07.06 58년 상반기 예술계(국악) 총평 “정리에서 발전의 고비로“(세계일보)
  • 1958.09.20 순수한 국악탐구 “전국 여자중·고·대학 경연대회에 부쳐“(한국일보)
  • 1959 한국의 악보「대백과사전」권4(학원사)
  • 1959.02.12 50년대의 문화계의 총화(국악) “비약 10년 현대화의 길로“ - 채보, 악사양성, 다채로운 행사도-(서울신문)
  • 1959.12 국악의 과거와 미래「예술원보」제3호(대한민국 예술원)
  • 1960 두봉 이병성님 가다(주간방송)
  • 1960 올바른 국극의 지표-국립극장 「암행어사」공연 평-(동아)
  • 1960.01.15 예원의 첫꿈, “국악관현악단 편성“(동아일보)
  • 1960.08.12 벤취, “국악세계의 옥석“(서울신문)
  • 1960.09 수필 ‘자화상‘「예술원보」제4호(대한민국 예술원)
  • 1960.11.13 두봉 이병성님 가다-인간문화재를 잃고-(주간방송, 44호)
  • 1960.11.18 국악과 보존문제 “우리 나라 특이한 민족문화재“-우선 「인간문화재」보호하고 악기, 악서에도 만전을 기하라-(동아일보)
  • 1960.12.01 무질서한 창조가 불만(음악신문) 창간호
  • 1960.12.28 국악계(서울신문)
  • 1960.12.29 중점적인 선정(평화신문)
  • 1961.09.11 국악계의 현재 “빛나는 앞날에 기대“-국악인들의 자질 향상이 시급-(새나라 신문)
  • 1961.12.03 61년의 백서(국악) “보람된 기록, 해리슨 작곡“(동아일보)
  • 1961.12.31 국아계의 새 설계 “국악원의 설비·보수를 계기로“(민국일보)
  • 1962 국악 50년사「한국연예대감」(성영문화사)
  • 1962.02.28 국극 수립의 길 “판소리 정통을 살려야“(서울신문)
  • 1962.03.29 왕성한 의욕에 기대-국립극단 제1회공연 「춘향전」평-(서울신문)
  • 1962.04.05 국악교육의 횃불-처음 열리는 「명창 명인대회」(동아일보)
  • 1962.05.12 수상자를 말한다 5월 문예상 김기수(국악) “새 국악의 앞장“-말 없는 천재 이기도 - (대한일보)
  • 1962.05.18 한 돌 맞은 문화계진단(국악) “활기 넘친 1년“-진흥의 기초 작업을 끝내고-(한국일보)
  • 1962.06.26 혁신하는 국악계 “작금의 연주행사를 돌아보며“-지휘의 첫시도·5.16축전-(?)
  • 1962.08.27 수상 ‘국악의 해외진출‘(서울신문)
  • 1962.10.17 연극평, “온고지신의 기틀“-국립국극단 2회 공연-(서울신문)
  • 1962.12 축간사, “축, 무용한국 창간“ 「무용한국」창간호(무용한국사)
  • 1962.12.15 62년 국악계 결산 “흐뭇한 풍작의 해“(대한일보)
  • 1962.12.26 62년을 돌아본다(국악) “주목 끈 신국악 전개“-신인 작곡가의 발굴도 큰 성과, 국악강사도 진지했고-(국제신보)
  • 1962.12.27 62년의 백서(국악) “의욕적인 사업 전개“-신진양성에 강력한 소지가 필요, 관현악과 새로운 가곡도 시도-(동아일보)
  • 1963 [논문] <가을이 오면>(여성)
  • 1963 [논문] (Korea Journal)
  • 1963 민속음악의 현대적 의의 「공보」권1 제4호(문화공보부)
  • 1963.06.21 내가 아는 천재·귀재, “竹濃 金桂善“-雅樂部의 金看板-(서울신문)
  • 1963.08 [국내활동] 아악해설(국립국악원)
  • 1963.10.18 자랑할 만한 우리의 국악(동대신문)
  • 1964 [국내활동] 종묘제례악 「무형문화재 조사 보고서」제3호(문화재 관리국)
  • 1964 [논문] <國樂의 발자취> (음악세계)
  • 1964 [논문] <새해 머리에>(신세계)
  • 1964 [논문] <흔들리는 것>(신사조)
  • 1964 국악이 걸어온 길「음악세계」제4호~제10호(음악세계사)
  • 1964 현대 국악개관「한국예술총람 개관편」(대한민국 예술원)
  • 1964.06 [국내활동] 국악해설 및 감상 1, 2(국립국악원, ~1964.10)
  • 1964.11.18 국악과 보존문제(동아일보)
  • 1965 [국내활동] 범패「무형문화재 보고서」제26호(문화재 관리국)
  • 1965 [논문] <國樂 40년>, <국악이야기> (漢陽)
  • 1965 [논문] <나의 인생과 예술>(현대문학)
  • 1965 [논문] <晩秋의 장>(서울신문)
  • 1965 [논문] <한국음악과 연극> (연극)
  • 1965 한국의 악기「한양」(동경, 한양사)
  • 1965 한국의 악기·한국악보 해제·한국무용 개설「한국예술총람 자료편」(대한민국 예술원)
  • 1965.05.02 우리 나라 악기(소년 동아일보)
  • 1965.05.21 제언, “방송과 민족문화“(주간방송)
  • 1965.07.05 국악진흥책의 전망(교육주보) 제13호
  • 1965.11.04 제6회 민속예술경연대회 총평 “쇠잔해진 원형·아쉬운 창의력“(서울신문)
  • 1965.12 종묘제례악「문화재」창간호(문화재관리국)
  • 1966 [공연] 국립국악원 일본 공연
  • 1966 [논문] <국악과 친하는 길>(서울중고 교지)
  • 1966 [논문] <국악의 일본 원정> (서울신문)
  • 1966 [논문] <한국의 樂器> (한양), <放送國樂>, <한국의 아악> (대한일보)
  • 1966 국악 20년 개관「한국예쑬지」권1(대한민국 예술원)
  • 1966 음악부문 “1965년 국악개관“, “1945~1965년 국악자료“, 연예부문 “무용 20년 개관(1945~65)“, “1965년 무용개관“「한국예술지」권1(대한민국 예술원)
  • 1966.06.12 되찾는 민속예능(한국일보)
  • 1966.09 [국외활동] 국립국악원 해외 연주 : 재일 거류민단 초청 한·일 국교 정상화 기념 재일교포 위문 일본 순회(아악 연주단장)
  • 1966.11.10 정년퇴직(대한일보)
  • 1966.12 도일공연「예술원보」제10호(대한민국 예술원)
  • 1966.12.29 슬픔과 기쁨사이(서울신문)
  • 1967 [공연] 국립국악원 대만 공연
  • 1967 [국내활동] 녹성 김성진 대금「무형 문화재 조사 보고서」제38호(문화재 관리국)
  • 1967 [논문] <민족음악의 우수성>(한양)
  • 1967 [논문] <아악의 아름다움> (여원)
  • 1967 음악부문 “1966년 국악개관“, “1965년~1966년 국악자료“「한국예술지」권2(대한민국 예술원)
  • 1967.04.01 봄비(서울신문)
  • 1967.08.22 舊軍樂의 今昔(上)(서울신문)
  • 1967.08.24 舊軍樂의 今昔(下)(서울신문)
  • 1967.09 [국내활동] 한국악기 개량 연구-중간보고「예술논문집」제6집(대한민국 예술원)
  • 1967.09 [국외활동] 국립국악원 해외 연주 : 자유중국 국악학회 초청 자유중국 순회공연(아악 연주단장)
  • 1967.10 [국내활동] 중화민국 공연 귀국 보고(국립국악원)
  • 1967.10.10 해외에 떨친 우리 국악 “자유중국 공연을 마치고“(서울신문)
  • 1967.10.23 우리국악 “자유중국 순회공연을 마치고“(새나라신문)
  • 1967.10.26 회상의 가을, ‘추사비(秋士悲)‘-꽃밭이랄 수도 없는 뜨락처럼 년륜도 가며-(한국일보)
  • 1967.12 자유중국 공연「예술원보」제11호(대한민국 예술원)
  • 1968 [국내활동] 가극「무형 문화재 조사 보고서」제62호(문화재 관리국)
  • 1968 [저서] 「국악대전집」(신세계레코드) 레코드해설서
  • 1968 [저서] 「민요삼천리」(성음사) 레크드해설서
  • 1968 「국악대전집」(신세계레코드), 레코드 해설서
  • 1968 음악부문 개관 및 자료 “1967년 국악개관·국악자료“「한국예술지」권3(대한민국 예술원)
  • 1968.01 [국내활동] 전국 중등학교 교사대상 특별국악강좌(국립국악원, ~1969.01)
  • 1968.01.23 고금동석, “우륵선생 회견기“(경향신문)
  • 1968.11 국악수상「예술원보」제12호(대한민국 예술원)
  • 1969 음악부문 개관 및 자료 “1968년 국악개관·국악자료“「한국예술지」권4(대한민국 예쑬원
  • 1969 현행 아악의 전통 : 이혜구 박사 송수기념 음악회 논총(한국국악학회)
  • 1969.05.28 멋의 발견(성대신문)
  • 1970 [국내활동] 대취타「무형 문화재 조사 보고서」제69호(문화재 관리국)
  • 1970 [논문] <풍성한 민속예술의 발굴> (대한일보)
  • 1970 음악부문 개관 및 자료 “1969년 국악개관·국악자료“「한국예술지」권5(대한민국 예쑬원
  • 1970.12 수필 ‘오당 함화진선생‘「예술원보」제14호(대한민국 예술원)
  • 1970.12.19 국악의 보호 육성문제(박물관 뉴우스)
  • 1970.12.19 시론, “국악의 보호 육성문제“「박물관뉴우스」제6호(국립중앙박물관)
  • 1971 [국내활동] 서울지역의 무속「무형 문화재 조사 보고서」제86호(문화재 관리국)
  • 1971 [국내활동] 제5회 세미나 ○주제발표 : 國樂의 진로(예술원보 15호)
  • 1971 [논문] <形과 影> (독서신문) 등 다수
  • 1971 불표문화재에 대하여-국보나 보물로 지정된 것만이 불교문화재가 아니다「불교」14(8)
  • 1971 서평-한국악기대관「한국음악연구」창간호(한국국악학회)
  • 1971 음악부문 개관 및 자료 “1970년 국악개관·국악자료“「한국예술지」권6(대한민국 예술원)
  • 1971.03.28 국민적 재산 문화재(독서신문)
  • 1971.11 국악의 진로에 대하여「예술원보」제15호(대한민국 예술원)
  • 1972 [공연] 국립국악원 북미 공연
  • 1972 음악부문 개관 및 자료 “1971년 국악자료“「한국예술지」권7(대한민국 예술원)
  • 1972.02 악장가사「국학자료」창간호(문화재관리국 장서각)
  • 1972.03.18 국악인의 변, “대불핍절(大不乏絶)“(대한일보)
  • 1972.05.25 일무금석(佾舞今昔)「유림원보」(성균관)
  • 1972.07 [국내활동] 여명기의 국악(국립국악원)
  • 1972.09 [국외활동] 국립국악원 해외 연주 : 미국·아시아 소사이티 초청(아악 연주단)
  • 1972.10 [국내활동] 미국순회공연을 마치고(국립국악원)
  • 1972.12.04 국악계의 대사표(大師表) 고 이주환님(중앙일보)
  • 1972.12.04 인간문화재 고 이주환형 영전에 “국악에 바친 한 평생“(대한일보)
  • 1972.12.07 국립국악원 아악연주단의 북미주 연주를 마치고-세계의 아악으로 각광...-(독서신문)
  • 1973 음악부문 개관 및 자료 “1972년 국악자료“「한국예술지」권8(대한민국 예술원)
  • 1973 한국음악서설 및 분류·제례악·연례악「세계대백과사전」(태극출판사)
  • 1973.12 이주환님의 생애와 예술「예술원보」제17호(대한민국 예술원)
  • 1973.12.08 천자춘추, “아악(雅樂)“, “지음(知音)“, “노년(老年)“, “평가(評價)“(서울신문)
  • 1974 [국외활동] 제3회 아시아예술심포지엄 ○주제 : 東西藝術의 특질
  • 1974 음악부문 개관 및 자료 “1973년 국악자료“「한국예술지」권9(대한민국 예술원)
  • 1974.03.11 명창 김연수씨의 별세에 붙여(중앙일보)
  • 1974.03.27 무형문화재 전수의 새 과제-평가 발표회를 보고-(중앙일보)
  • 1974.04 명창 김연수씨의 별세에 붙여 「월간문화재」통권28호(월간문화재사)
  • 1974.11 음악편 ‘국악교육의 현황과 전망‘「예술원논문집」제13집(대한민국 예술원)
  • 1974.12 수필 ‘정악원 회고‘「예술원보」제18호(대한민국 예술원)
  • 1975 [국내활동] 종묘 제례「무형 문화재 조사 보고서」제116호(문화재 관리국)
  • 1975 음악부문 개관 및 자료 “1974년 국악자료“「한국예술지」권10(대한민국 예술원)
  • 1975.04.25 석전 50년「유림월보」(성균관)
  • 1975.12 기행문‘美·加 연주기행‘「예술원보」제19호(대한민국 예술원)
  • 1976 [공연] 아시아 작곡가 연맹 세미나 (일본)
  • 1976 [저서] 「한국의 무용」(세종대왕 기념 사업회)
  • 1976 [저서]「한국의 舞踊」, 「韓國音樂論攻」, 「국악감상」
  • 1976 국악개관, 아악「문예총감」(한국문화예술진흥원)
  • 1976 음악부문 개관 및 자료 “1975년 국악자료“「한국예술지」권11(대한민국 예술원)
  • 1976.03 [국외활동] 아시아 작곡가 연맹 초청 세미나 참가 : 일본 동경 고마가후 강연회(고려악 연구회)
  • 1976.04.21 圓熟한 心魂의 호흡-이은관 서도창을 듣고-(경향신문)
  • 1976.07.26 명사교류도(주간 시민, 519호)
  • 1976.12 수필 ‘고악기‘「예술원보」제20호(대한민국 예술원)
  • 1977 [공연] 국악원 아시아 예술제 (홍콩)
  • 1977 교차로 “전통예능“, "국악창작", "국악인구“, “정년유감“「전경련회보」(전경련)
  • 1977 국악「문예연감 1976」(한국문화예술진흥원)
  • 1977 음악부문 개관 및 자료 “1976년 국악자료“「한국예술지」권12(대한민국 예술원)
  • 1977 조선전기 교육과 문화 : 음악「서울 600년사」제1권(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 1977 향악의 장고형「한국음악연구」6, 7집 합병호(한국국악학회)
  • 1977.01.01 아악생 시절(국악고등학교 동창회보)
  • 1977.05.04 나의 이력서(한국일보, ~07.27)
  • 1977.10 [국외활동] 국립국악원 제2회 아시아 예술제 참가 : 홍콩(아악연주단장)
  • 1977.11.01 무용수상「무용한국」‘77 추동호(무용한국사)
  • 1977.11.12 생활에세이 오늘을 사는 지혜, “하늘과 이웃에 감사한다“(조선일보)
  • 1977.11.29 한 세기만의 본격공연-국립국악원 광주공연에 부쳐-(전남일보)
  • 1977.12 [국내활동] 국악원의 어제와 오늘(국립국악원)
  • 1977.12 작고회원의 생애 “소남 이주환님의 생애와 예술“「예술원보」제21호(대한민국예술원)
  • 1978 [저서]「나의 人生觀 : 노을에 띄운 가락」
  • 1978 나의 인생관「노을에 띄운 가락」(휘문출판사)
  • 1978 조선후기 교육과 문화 : 음악「서울 600년사」제2권(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 1978.01 불에 구워낸 더덕 북어「신동아」1월호
  • 1978.06.27 산조음악발표회(한범수)를 보고(서울신문)
  • 1978.10 [국외활동] 정부 파송 민속예술단장으로 일본 공연
  • 1978.10.02 풍요와 창조와...홍익인간의 뜻을 이어(경향신문)
  • 1979 [공연] 정부 파송 민속예술단장으로 일본 공연
  • 1979 [저서] 「韓國傳統舞踊」
  • 1979 「한국의 전통음악」(일지사)
  • 1979 국악이야기「문학사상」(문화사상사)
  • 1979.01.10 고임돌, “소장(消長)“(서울신문)
  • 1979.01.19 고임돌, “악보(樂譜)“(서울신문)
  • 1979.01.26 고임동, “남녀(男女)“(서울신문)
  • 1979.03 수필 ‘전통음악의 전승‘「예술원보」제22호(대한민국 예술원)
  • 1979.03.25 지음(知音) 백아(伯牙)와 종자기(種子期)「유림월보」
  • 1979.04.08 한발한발 차근차근-거문고 정악보 펴 내는데 우보(牛步) 같은 자세로...(일요신문)
  • 1979.05.29 「名花」는 가고 「名昌」만 남아-박녹주여사를 애도함-(조선일보)
  • 1979.07.08 새마음의 길 지속적인 반성 “자신을 되돌아보고 새 결의를“(일요신문)
  • 1979.09.03 우리 문화예술의 얼을 오늘에 “민중의 정서가 깃든 ‘소리‘“「연세춘추」
  • 1979.12 수필 ‘田邊尙雄 翁‘「예술원보」제23호(대한민국 예술원)
  • 198○ 거목을 심는다는 개척자 정신으로(중앙일보)
  • 198○ 공연의 질을 높혀야(한국일보)
  • 198○ 국립국악원 공연 ‘아악‘ 해설(서울신문)
  • 198○ 윤소인 가야금병창(동아일보)
  • 198○ 음악평, “정재국 피리·태평소 독주“(한국일보)
  • 1980 [국내활동] 정선 아리랑 및 배뱅이굿「무형 문화재 조사 보고서」제135호(문화재 관리국)
  • 1980 [저서] 관재 성경린 선생 고희 기념「정악 거문고보」
  • 1980 현대창극사「국립극장 30년」(국립중앙극장)
  • 1980.02.15 내가 오늘의 젊음을 다시 산다면(15) “독야청청 선금(善琴)에의 길 있을 뿐“(서울신문)
  • 1980.07.04 관현합주는 음화적(音和的) 문제 극복이 아쉬웠다-국악인 모임「해정악회」 첫 발표회를 보고(경향신문)
  • 1980.08.27 아악우감(雅樂偶感) 수상(隨想) “덕(德)과 인(仁)에 서는 고고(孤高), 진미(盡美)와 진선(盡善)의 음악 ‘아악(雅樂)‘“「유림월보」(성균관)
  • 1980.12 [국내활동] 이왕직 아악부의 연주활동(국립국악원)
  • 1980.12 수필 ‘괴정 김영제 선생‘「예술원보」제24호(대한민국 예술원)
  • 1980.12 음악편 ‘현행 정재의 전통 : 1920년대의 무동정재를 중심으로‘「예술원 논문집」제19집(대한민국 예술원)
  • 1981 [국내활동] 석전의례「무형 문화재 조사 보고서」제144호(문화재 관리국)
  • 1981 국립국악원 연혁「국악연혁」(국립국악원)
  • 1981 예술풍속「한국의 명저」(세종대왕기념사업회) 교양국사총서 36
  • 1981 음악부문 개관 및 자료 “1980년 국악개관“「한국예술지」권16(대한민국 예술원)
  • 1981.05.30 한국전통무용「무용한국」‘81 춘하호(무용한국사)
  • 1981.11.25 한국전통무용(연재3회) 「무용 한국」‘81 추동호(무용한국사)
  • 1982.01.25 춘추 ‘석전‘과 나 「유림월보」(성균관)
  • 1982.04.25 한국전통무용(연재 4회)「무용한국」‘82 춘하호(한국무용사)
  • 1982.09.25 한국전통무용(연재 5회, 완)「무용한국」‘82 추동호(한국무용사)
  • 1983 [국내활동] 배뱅이굿「무형 문화재 조사 보고서」제156호(문화재 관리국)
  • 1983 국악의 연주전통 「예술원보」제27호(대한민국 예술원)
  • 1983.03 특집1, 겨레를 위하는 길 “가난해서 배운 거문고“ 「밀물」3월호
  • 1983.04.20 한국무용의 맥락 “佾舞의 武舞를 중심으로“「무용한국」‘83 춘하호(무용한국사)
  • 1983.10.30 한국무용의 맥락 “宮中舞踊의 傳統“「무용한국」‘83 추동호(무용한국사)
  • 1984 [국내활동] 함체 출품류「무형 문화재 조사 보고서」제165호(문화재 관리국)
  • 1984 문화대전의 ‘가무‘ 총평「월간 전통문화」(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84 인간문화재 대전 제15회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놀라움이 보이지 않는 무대“-인간
  • 1984 창간사「월간문화재」창간호(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84 한국무용의 맥락(3) “고대무악의 전승“「무용한국」‘84 춘하호(무용한국사)
  • 1984 한국무용의 맥락(4) “日本에서의 高麗樂(고마가꾸)“「무용한국」‘84 추동호(무용한국사)
  • 1984.12 개원 30년 특집 “분과별 30년사(음악분과)“「예술원보」제28호(대한민국예술원)
  • 1985 [공연] 정부 파송 민속예술단장으로 민속예술제 (일본 및 아시아) 등 다수
  • 1985 [국외활동] 정부파송 예술단장으로 민속예술제 참가 : 일본 및 아시아
  • 1985 [저서] 「世宗時代의 音樂」등
  • 1985 광복 50주년 우리예술의 회고「예술세계」통권59호(예총)
  • 1985 음악편(종묘제례악 등)「한국예술사총서Ⅳ」(문화재관리국)
  • 1985 한국무용사Ⅰ「한국예술총서 Ⅳ」(대한민국 예술원)
  • 1985 한국무용의 맥락(5)「무용한국」통권18호 춘하호(무용한국사)
  • 1985.06 문화산책「월간문화재」제11호(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85.10.30 한국무용의 맥락(6) “세계속의 傳統舞踊“「무용한국」‘85 추동호(무용한국사)
  • 1985.11 무대종목 발표공연의 의의-제16회 발표공연에 부쳐「월간문화재」제16호(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86 궁중무용무보 해제「궁중무용무보」제1집~제9집(국립국악원,~1996)
  • 1986 수필 ‘관운(官運)‘「문공회보」(문화공보부)
  • 1986.01 새해에 바란다 “전수교육 평가 수반돼야“「월간문화재」(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86.02 ‘86년의 국악계 “국악무대의 소극장 운동을 활성화"「객석」(예음)
  • 1986.05.12 한국무용의 맥락(7) “세계속의 傳統舞踊“「무용한국」‘86 춘하호(무용한국사)
  • 1986.07.01 제17회 중요무형문화재 마당종목 발표공연을 보고「월간문화재」제24호(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86.11.01 중요무형문화재 무대종목 발표공연을 보고「월간문화재」제28호(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86.11.20 한국무용의 맥락(8) “세계속의 傳統舞踊“「무용한국」‘86 추동호(무용한국사)
  • 1987.02.01 무형문화재의 올바른 전수교육「월간문화재」제31호(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87.04 김정연여사의 타계를 애도함「월간문화재」제33호(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87.05.20 한국무용의 맥락(9) “金寶男의 再評價“「무용한국」‘87 춘하호(무용한국사)
  • 1987.06 수필 ‘하느님의 사랑‘「예쑬계」(예총)
  • 1987.08 감격의 장, “아악부의 해방전후“「예술계」(예총)
  • 1987.08.01 축 창간 3주년「월간문화재」제37호(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87.10 수필여행 특집 3, 짙은 가을의 사색을 위한 7인 수상록 “이국(異國)의 창변(窓邊)에서 맛본 가족의 정(情)“「삼성사보」(삼성)
  • 1987.11.20 한국무용의 맥락(10) “元老 金千興의 業積“「무용한국」‘87 추동호(무용한국사)
  • 1988.05 봄철 무대종목을 보고 “갈고 닦고 향상된 기예“「월간문화재」제46호(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88.05.25 한국무용의 맥락(11) “민속춤의 대모 韓英淑“「무용한국」‘88 춘하호(무용한국사)
  • 1988.11 수필 ‘아악부의 꿈‘「예술계」통권 제42호(예총)
  • 1988.11 추계 중요무형문화재 무대종목 발표공연을 보고「월간문화재」제52호(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89.01 축 국악소식「국악소식」창간호(국립국악원)
  • 1989.05.25 한국무용의 맥락(12) “처용무(處容舞)의 중무(中舞)들“「무용한국」‘89 춘하호(무용한국사)
  • 1989.07 외할머니 추억(追憶)「종근당 사보」(종근당)
  • 1989.11.24 한국무용의 맥락(13) “呈才의 大師範-李壽卿 先生“「무용한국」‘89 추동호(무용한국사)
  • 1990.04 아악부의 스승들1~5「국악소식」통권 제6집(명완벽 선생), 제7집(괴정 김영제 선생), 제8·9집(오당 함화진 선생 상·하), 제10집(송사 이수경 선생) ( 국립국악원)
  • 1990.05.01 춘계 중요무형문화재 무대종목 발표공연을 보고「월간문화재」제70호(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90.06.10 한국무용의 맥락(14) “창무절기(處容舞)의 金素姬“「무용한국」‘90 여름호(무용한국사)
  • 1990.06.29 김금숙 명창에...(동아일보)
  • 1990.08.16 8.15전후의 아악부와 아악사「예총신보」(예총)
  • 1990.10.17 한국무용의 맥락(15) “보혁(保革)의 명무-姜善泳“「무용한국」‘90 가을·겨울호(무용한국사)
  • 1990.12 가을철 무대종목 발표공연 총평「월간문화재」제77호(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91 조선조 말과 근대를 이은 궁중음악의 인맥-아악부의 노스승과 아악부의 신세대(아버지에서 아들로)...「이왕직아악부와 음악인들」(국립국악원)
  • 1991.02 제16집(박덕현 선생), 제17집(명저 김계선), 제18집(김덕길(덕규)님), 제19집(박성재 님), 제20집(두봉 이병성),
  • 1991.02 국악사 인물전「국악소식」통권 제11집(최순영 선생), 제12집(유의석 선생), 제13·14집(금하 하규일 선생 상·하), 제15집(안덕수 선생집),
  • 1991.06.21 윤병천의 대금(동아일보)
  • 1991.09.29 김천흥 선생 회혼례 축사(스포츠 서울)
  • 1991.10.16 조순자의 여창가곡(대한일보)
  • 1991.10.18 금하 하규일 선생(상)(대한일보)
  • 1991.10.19 축파 김난초 선생(대한일보)
  • 1991.10.25 김무길의 거문고산조(스포츠서울)
  • 1991.11.23 조순자와 여창가곡(스포츠서울)
  • 1991.11.25 금하 하규일 선생(하)(스포츠서울)
  • 1992 [국내활동] 관재 성경린 선생 팔순 기념 헌정 음악회(국립국악원)
  • 1992 [저서] 관재 성경린 선생 팔순 기념 헌정 논문집「국악학 논총」(국립 국악고등학교 동창회)
  • 2000 [국내활동] 관재 성경린 선생 구순 기념 헌정 음악회(국립국악원)
  • 2000 [저서] 관재 성경린 선생 구순 기념「국악학 논총」(국립 국악고등학교 동창회)
  • 2000.06.15 전통가곡 틀 잡은 선각자-6월의 문화인물 하규일 선생을 기리며-(세계일보)
  • 2003.10 [국내활동] 거문고 : 성경린, 양금 : 김천흥(한국문화재 보호재단)
  • 2004.09 78년을 동안 우리 음악 ‘외길‘ 아악의 수호자 성경린(한국음악협회 가을호)
  • 2004.12 [국내활동] 심재 정악단 창단 연주회 총연주시간 : 1시간 30분 집박: 김천흥, 구음 : 성경린, 채성희
  • 2004.12 심재 정악단 창단 연주회(세계일보)
  • 2005.08 전통 궁중음악 ‘정악‘ 되살린다 국악원로 김천흥·성경린옹 (서울신문)

등록된 작품 및 예술활동이 없습니다.

회원의 대한민국예술원 활동내역을 나타내는 표로 참여년도,작품 및 예술활동,상세보기 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참여년도 작품 및 예술활동 상세보기
1971년 대한민국예술원 예술원세미나 상세보기
1968년 대한민국예술원 대한민국예술원상 상세보기
회원의 간행물 내역을 나타내는 표로 간행물명, 목차명, 상세보기 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간행물명 목차명 상세보기
한국예술사총서Ⅳ-한국연극·무용·영화사 韓國舞踊史Ⅰ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16 國樂槪觀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13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12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12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11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10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9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8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7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6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6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5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5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4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4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3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3 國樂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2 國樂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28호 音樂分科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27호 國樂의 演奏傳統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23호 田邊尙雄翁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22호 傳統音樂의 傳承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21호 韶南 李珠煥님의 生涯와 藝術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20호 古樂器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19호 美·加 演奏紀行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18호 正樂院回顧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17호 李珠煥님의 生涯와 藝術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15호 71年 5月 쎄미나發表文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14호 梧堂? 咸和鎭선생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12호 國樂隨想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11호 自由中國 公演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10호 渡日 公演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호 (隨筆)自畵像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3호 國樂의 過去와 將來 상세보기
예술논문집 제19집 現行 呈才의 傳統 ; 1920年代의 舞童呈才를 中心으로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