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visual

회원 상세보기

연극 · 영화 · 무용 분과 다른 회원 보기 이동
유고회원
김수용

김수용(金洙容, Kim Soo-yong)

분과
연극 · 영화 · 무용
분야
감독
출생지
경기도 안성
입회연도
1989
작고일
2023-12-03

상훈

  • 1965 제3회 청룡상 감독상
  • 1966 서울시 문화상
  • 1967 제5회 청룡상 감독상
  • 1967 제6회 대종상 감독상
  • 1968 한국일보 연극영화예술상
  • 1969 아시아영화제 감독상
  • 1974 제13회 대종상 감독상
  • 1979 한국일보 연극영화예술상
  • 1980 제18회 대종상 감독상
  • 1990 대한민국예술원상
  • 1998 일본카토릭영화상
  • 1999 은관문화훈장
  • 2008 자랑스러운 서울교대인상
  • 2008 나운규 영화제 춘사대상
  • 6.25 참전 국가 유공자
  • 국민원로회의의원

주요 작품 및 예술활동

  • <저서>
  • 공저 「영화란 무엇인가」
  • 역서 「5C-映畵術」
  • 평전 「예술가의 삶」, 「영화를 뜨겁게 하는 것들」, 「나의 사랑 시네마」
  • .
  • <영화>
  • 1963 <굴비>, <혈맥>
  • 1965 <저 하늘에도 슬픔이>, <갯마을>
  • 1966 <有情>
  • 1967 <산불>, <안개>, <사격장의 아이들>, <까치소리>, <滿船>
  • 1968 <순애보>, <분녀>
  • 1969 <봄봄>
  • 1970 <無影塔>
  • 1973 <일요일의 손님들>
  • 1974 <토지>
  • 1975 <극락조>
  • 1976 <가위바위보>, <내마음의 풍차>
  • 1977 <야행>, <화려한 외출>
  • 1978 <火鳥>, <웃음소리>, <망명의 늪>
  • 1979 <달려라 만석아>
  • 1980 <망명의 늪>, <하얀미소>
  • 1981 <도시로 간 처녀>, <晩秋>
  • 1982 <피에로와 국화>
  • 1984 <저 하늘에도 슬픔이>리메이크
  • 1986 <허튼소리>
  • 1995 <사랑의 묵시록>, <침향> 등 영화 109편 연출
  • 2012 '영화의 향기' 전시회 개최
  • 2014 '저 하늘에도 슬픔이' 복원(한국영상자료원)
  • .
  • <예술활동>
  • 2014.5.22.~7.3 한국영상자료원 창립 40주년 기념 영화제 ‘발굴, 복원 그리고 재창조’(한국영상자료원) ­ 4.21.‘저 하늘에도 슬픔이(1965)’ 복원 ­ 5.30.‘저 하늘에도 슬픔이(1965)’상영 및 대담
  • 2014.11.27 가을 로맨스영화 기획전 ‘늦어도 11월에는’: ‘만추’ 상영(서울극장)
  • 2015.3.16 일요서울 ‘피플’ 인터뷰
  • 2015.4.7 한국영상자료원 주최 ‘1940-1980년대 영화 94편 발굴 기자회견’(한국프레스센터)
  • 2015.4.23 ‘이만희 감독 타계 40주기 추모 전작전 개막식’ 추모사(한국영상자료원)
  • 2015.6.4.~6.8 제3회 무주산골영화제 <저 하늘에도 슬픔이> 상영
  • 2015.6.12.~7.5 ‘발굴, 복원 그리고 초기 영화로의 초대’ 특별상영회 <만선> 상영(한국영상자료원)
  • 2015.7.2 <저 하늘에도 슬픔이> DVD 출시(한국영상자료원)
  • 2015.10.1 제20회 부산국제영화제 특별전 ‘한국영화회고전’ <만선> 상영
  • 2015.11~12 1950~60년대 한국영화 숨은 걸작전 <만선> 상영(한국영상자료원)
  • 2016.05.19 한국영상자료원 파주보존센터 개소식 축사 (파주)
  • 2016.06.10 영상물등급위원회 50주년 특별 세미나 축사 (한국프레스클럽)
  • 2016.07.06.~07.11 제1회 충무로뮤지컬영화제 ‘충무로 리와인드’ - 김수용 감독의 <혈맥> 상영
  • 2016.09.26 기장군 추억의 영화 야외상영 - <저 하늘에도 슬픔이> 상영 (부산)
  • 2016.11.14~11.20 정관도서관 <추억의 영화> 기획 ‘저 하늘에도 슬픔이’ 상영 (부산)
  • 2019.11 28-30 대한민국예술원 연영무전(영화전) 토크쇼 참여
109번째 작품 ″沈香″의 촬영현장에서(1998)
배우는 李世昌과 金明俊

설명

109번째 작품 ″沈香″의 촬영현장에서(1998) 배우는 李世昌과 金明俊

목록

109번째 작품 ″沈香″의 촬영현장에서(1998)
배우는 李世昌과 金明俊
그와의 마지막 작품 <침향>을 로케한 대흥사에서<1996년 겨울>

<1976~1996> 정일성은 아래와 같은 나의 작품을 촬영하였음
○ 가위 바위 보
○ 사랑의 조건
○ 망명의 늪
○ 저녁에 우는 새
○ 화려한 외출
○ 만추
○ 피에로와 국화
○ 사랑의 묵시록
○ 침향
^ 그는 영상미를 드라마와 동격으로 치중했고 영화의 생명은 기술적인 완성도에 있다고 주장했다.
^ 촬영현장을 누비다가 어느덧 인생의 마루턱에 서게 되었다.
동경오다니호텔 앞에서(1966)

^ 나는 <1966~1995> 사이 아래와 같은 작품을 일본현지 로케를 했다.

″잘있거라 일본땅(1966)″, ″유정(1966)″, ″망향(1966)″, ″동경특파원(1968)″, ″추격자(1969)″, ″저것이 서울의 하늘이다(1970)″, ″설원의 정(1970)″, ″추격자(1970)″, ″사랑의 묵시록(1995)″ -일본 현지 촬영때는 이노우에(井上) 카메라맨(중앙 재일교포)이 늘 협조했다.
1986년 ″허튼소리″는 검열의 가위가 무참하게 잘랐다. 
한국영화의 표현의 자유는 바닥에 떨어졌고 영화단체가 이에 맞섰지만 정부는 강경했다. 결국 감독은퇴선언에 이르는데 그러한 비극적 결과를 전혀 예상도 못하면서 설악산 로케에서 배우(정동환) 와 감독은 즐거운 촬영을 하고 있었다
″사랑의묵시록″ 1995년 일본 고찌 가즈라하마에서 로케이션 원로 가자미 아끼꼬와 주연 이시다에리(뒷모습)가 한국 아역배우와 연기한다. 이곳은 시고꾸(四國)의 관광명소.
4회 동경국제영화제 심사위원들과(1993년 동경시부야) 좌로부터 감독상 정지영 리차드 자낙(미국제작자), 크리스포퍼 리(영국드라큐라배우), 기시 게이꼬(일본여배우), 마르세르 마르땅(프랑스평론가) 그리고 다음 다음이 김수용.
차범석 선생의 대표작 ″산불″을 영화로 만든후 친교가 시작되어 ″화조″도 영화화되었다. 1981년 청주대 연극영화학과에서 영화와 연극강의를 하는 교수로 함께 임명되어 근무하였다. 그후도 연극과영화예술에 대한 인식을 함께하면서 가까운 사이로 지내고 있다. 어느날 S극장앞에서(1995)
1990년 대한민국예술원상 수상식때 당시 문화부 이어령장관과 김백봉선생의 축하를 받았다. 김백봉선생은 1956년 군영화에 있을때 ″조국찬가″에 출연한 인연이고, 이장관은 1967년 ″안개″를 제작할때 많은 조언을 받았음.
2회 모스크바 사랑의 영화제 ″침향″ 출품 1999년 모스코바의 겨울 칼마르크스 동상앞에서
7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김수용회고전의 주제는 ″전통과 모더니즘의 가교″ 였다 에르메스에서 제공한 디레터즈체어에 앉은 감독
1996년 ″사랑의 묵시록″ 일본 고찌로케이션 시나리오 나카지마 촬열 정일성과 나는 최상의 한일합작영화를 위해 현장에서도 토론 의견교환을 지속했다
2003년 7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김수용회고전이 열였고 안성기 장미희 윤정희의 축하를 받고있는 감독
동경소재 일한교류센터 주최로 ″한국거장 2인전″이 열였고 초대된 김기영 감독과 나의 영화 각 5편씩이 일반공개되었고 일본영화 관객들과 대화를 하게 되었다 -1998년
운보는 청주 초정에 살고 있었으며 청주대에 근무하던 시절 가끔 방문 필담으로서의 예술에 대한 견해를 피력했다 -1995년
유현목 감독은 좋은 선배이며 늘 만나도 다정한 벗같은 분이다 운보네집뜰에서- 1990년
1991년 몬트리오세계영화제 심사위원들과 이태리여배우와 중국 칭가이거 감독과 함께
1967년 ″어느여배우의 고백″ 시나리오의 구성과 연출의 디테일이 돋보이는 페미니스트영화라는 평으로 수차례 여성영화제초청작이 되었다 
전성기의 남정임 김진규
109번째 작품 ″침향″ 구효서의 소설 ″나무 남자의 아내″를 원작으로 한다. 60년대 함께 일했던 시나리오 김지헌, 감독 김수용, 촬영 정일성은 KJK필름을 설립 권토중래(卷土重來)의 야심을 불살랐지만 제작비 부족으로 홍보없이 개봉하였다가 흥행참패를 했다. 그러나 작품성에 대한 활발한 평론이 앞으로 기대된다. 이세창과 김호정이 열연한다.
김수용 저 하늘에도 슬픔이 1984
갯마을 1965

갯마을 1965

저하늘에도 슬픔이 1965

저하늘에도 슬픔이 1965

안개 1967

안개 1967

귀로 1967

귀로 1967

위자료 1971

위자료 1971

여수 1979

여수 1979

만추 1981

만추 1981

삐에로와 국화 1982

삐에로와 국화 1982

만추 1982

만추 1982

중광의 허튼소리 1986

중광의 허튼소리 1986

침향 2000

침향 2000

회원의 대한민국예술원 활동내역을 나타내는 표로 참여년도,작품 및 예술활동,상세보기 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참여년도 작품 및 예술활동 상세보기
2019년 대한민국예술원 연극 · 영화 · 무용 상세보기
2019년 대한민국예술원 국제교류 상세보기
2013년 대한민국예술원 연극 · 영화 · 무용 상세보기
2012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2009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2008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2007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2002년 대한민국예술원 예술원세미나 상세보기
2001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1997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1997년 대한민국예술원 예술원세미나 상세보기
1997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1995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1993년 대한민국예술원 예술원세미나 상세보기
1990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1990년 대한민국예술원 대한민국예술원상 상세보기
회원의 간행물 내역을 나타내는 표로 간행물명, 목차명, 상세보기 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간행물명 목차명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22 映畵 槪觀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4호 서울의 광견(狂犬)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0호 욕과 영화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5호 매미소리외 2편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1호 한·일합작영화 제작연구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0호 잠자는 안성기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37호 20세기와 영화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36호 ′92 동경국제 영화제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35호 몬트리올의 한국영화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34호 映畵 前史와 映畵의 誕生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34호 映畵審議 有感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33호 <보는 문화>와 <읽는 문화>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31호 한국영화의 아이덴티티 상세보기
예술논문집 제42집 한국영화에 나타난 검열과 창작연구 상세보기
예술논문집 제35집 한일합작영화 연구보고서 상세보기
예술논문집 제32집 映畵的 時間 · 空間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