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visual

회원 상세보기

연극 · 영화 · 무용 분과 다른 회원 보기 이동
이강백

이강백(李康白, Lee Kang Baek)

분과
연극 · 영화 · 무용
분야
극작
출생지
전북 전주
입회연도
2024

경력 및 학력

  • 1971 동아일보 신춘문예 희곡부문 당선
  • 1997~2002 한예종 연극원 극작과 객원교수
  • 2000~2015 한국문예학술저작권협회 이사
  • 1998~2001 한국연극협회 이사
  • 2002~2013 서울예술대학 극작과 교수
  • 2009~2014 명동극장, 정동극장 이사
  • 2013~2016 동아연극상 심사위원
  • 2016~2017 예술의전당 <예술대상> 조직위원

상훈

  • 1975 영희연극상
  • 1982 동아연극상 특별상 (희곡상)
  • 1983 서울극평가그룹상 <쥬라기의 사람들>
  • 1984 서울극평가그룹상 <봄날>
  • 한국희곡문학상
  • 1985 베네수엘라 제3세계 희곡 경연대회 특별상 <호모 세파라투스>
  • 1986 대한민국 문학상 (희곡분야)
  • 1989 제13회 서울연극제 희곡상 <칠산리>
  • 1992 제28회 백상예술대상 희곡상 <동지섣달 꽃 본 듯이>
  • 1994 한국연극예술상
  • 1995 제31회 백상예술대상 희곡상 <불 지른 남자>
  • 제19회 서울연극제 희곡상 <영월행 일기>
  • 1996 제20회 서울연극제 희곡상 <뼈와 살>
  • 대산문학상 (희곡분야) <영월행 일기>
  • 1997 제5회 우경문화상
  • 1998 제22회 서울연극제 희곡상 <느낌, 극락같은>
  • 2000 제37회 백상예술대상 희곡상 <마르고 닳도록>
  • 2006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 2009 옥관문화훈장
  • 2014 서울시 문화상 (연극분야)
  • 2020 보관문화훈장

주요 작품 및 예술활동

  • 1971 <다섯> 공연 연출 이승규 극단 가교.
  • 1972 <셋> 공연 연출 태근식 극단 가교.
  • <알> 공연 연출 임준빈 극회 세대.
  • 1974 <내마> 공연 연출 이승규 극단 가교.
  • <결혼> 공연 연출 최치림 극단 자유
  • 1975 <파수꾼> 공연 연출 박경창 현대극회
  • <미술관에서의 혼돈과 정리> 공연 연출 방태수 극단 에저또.
  • 1978 <내가 날씨에 따라 변할 사람 같소?> 공연 연출 김도훈 극단 실험극장
  • 1978 <개뿔> 공연 연출 이승규 극단 가교.
  • 1979 <보석과 여인> 공연 연출 강영걸 극단 창고극장.
  • 1981 <족보> 공연 연출 김정옥 극단 자유
  • 1982 <쥬라기의 사람들> 공연 연출 임영웅 극단 산울림.
  • 1983 <호모 세파라투스> 공연 연출 윤호진 극단 실험극장.
  • 1984 <봄날> 공연 연출 권오일 극단 성좌.
  • 1986 <올훼의 죽음> 공연 연출 최유진 극단 시민.
  • 1987 <유토피아를 먹고 잠들다> 공연 연출 임영웅 극단 산울림.
  • 1989 <칠산리> 공연 연출 정진수 극단 민중
  • 1991 <물거품> 공연 연출 이병훈 국립극단.
  • <동지섣달 꽃 본 듯이> 공연 연출 김아라 한국연극협회.
  • 1992 <영자와 진택> 공연 연출 정진수 극단 민중
  • 1993 <북어 대가리> 공연 연출 김광림 극발전연구회.
  • 1993 <통 뛰어넘기> 공연 연출 권오일 극단 성좌.
  • <불 지른 남자> 공연 연출 채윤일 극단 성좌.
  • <자살에 관하여> 공연 연출 임영웅 극단 산울림.
  • 1994 <영월행 일기> 공연 연출 채윤일 극단 쎄실.
  • 1996 <뼈와 살> 공연 연출 김철리 극단 현대극장.
  • 1998 <이강백 연극제> 4월 16일~6월 14일 예술의 전당
  • <느낌, 극락같은> 공연 연출 이윤택 연희단 거리패.
  • 1999 <물고기 남자> 공연 연출 이상우 극단 연극세상.
  • 2000 <마르고 닳도록> 공연 연출 이상우 국립극단.
  • <오, 맙소사!> 공연 연출 채윤일 극단 쎄실.
  • 2002 <진땀 흘리기> 공연 연출 채윤일 극단 쎄실.
  • 2003 <배우 우배> 공연 연출 최용훈 극단 배우세상.
  • 2005 <맨드라미꽃> 공연 연출 박근형 극단 골목길.
  • 2007 <황색여관> 공연 연출 오태석 국립극단
  • 2009 <죽기살기> 공연 연출 송선호 극단 실험극장.
  • 2014 <챙!> 공연 연출 임영웅 · 심재찬 극단 산울림.
  • <즐거운 복희> 공연 연출 이성열 극단 백수광부.
  • <날아다니는 돌> 공연 연출 이성열 극단 백수광부.
  • 2015 <여우인간> 공연 연출 김광보 서울시극단.
  • 2016 <심청> 공연 연출 이수인 떼아뜨르 봄날.
  • 2018 <어둠상자> 공연 연출 이수인 떼아뜨르 봄날.
  • <사과가 사람을 먹는다> 공연 연출 서미영 극발전연구소
  • 2021 <신데렐라> 공연 연출 정범철 공연배달 탄탄
  • 2021 <신데렐라> 공연 연출 정범철 공연배달 탄탄
  • ■ 출판
  • 1974 『희곡선 ‘70』, <결혼> <보석과 여인> 수록, 민학사
  • 『전환기의 희곡』, <셋> 수록, 문명사
  • 1978 『한국명희곡선』, <결혼> 수록, 현암사
  • 1981 『한국희곡문학대계』 5권, <결혼> 수록, 한국연극사
  • 1982 『이강백 희곡전집 1권』, 평민사
  • 1985 『이강백 희곡전집 2권』, 평민사
  • 1986 『이강백 희곡전집 3권』, 평민사
  • 1987 『한국의 현대 희곡』, <쥬라기의 사람들> 수록, 열음사
  • 1992 『이강백 희곡전집 4권』, 평민사
  • 1993 『북어 대가리』, 도서출판 공간
  • 1995 『이강백 희곡전집 5권』, 평민사
  • 1997 중학교 3학년 국어 국정 교과서 <들판에서> 수록, 문교부
  • 『문학시간에 희곡 읽기 1권』, <결혼> 수록, 도서출판 나라말
  • 『문학시간에 희곡 읽기 2권』, <파수꾼> 수록, 도서출판 나라말
  • 1998 『Dramaty Lee Kang Baek』, 폴란드어 번역, Pod Wiatr
  • 1999 『이강백 희곡전집 6권』, 평민사
  • 『Es ist weit von Seoul nach Yongwol』, 독일어 번역,
  • Peperkorn, Deutschland.
  • 2000 『한국 현대명작 희곡선집』, <봄날> 수록, 연극과 인간
  • 『현대 명작 단막극선집』, <파수꾼> 수록, 연극과 인간
  • 2004 『이강백 희곡전집 7권』, 평민사
  • 『Chaos et ordre dans un musée: Bijou et femme』, 불어 번역, L'Harmattan, France
  • 『Trois / L'oeuf et le guetteur』, 불어 번역
  • 『한국 현대 대표 희극선』, <마르고 닳도록> 수록, 연극과 인간
  • 2005 『Comme si on voyait des fleurs au coeur de l’hiver』, 불어 번역, IMAGO, France
  • 李康白 戱曲集~ユ‐トピアを飲んで眠る, 일어 번역, 影書房, 일본
  • 2006 『희곡 창작의 길잡이』, 윤조병·이강백 공저, 평민사
  • 2007 『황색여관』, 범우사
  • 『Kang Baek Lee, Allegory of Survival』, 영어 번역, Cambria Press, U.S.A
  • 2012 중학교 3학년 국어 검인정 교과서 <결혼> 수록, 지학사
  • 2013 『李康白 戱曲集~ホモセパラトス』, 일어 번역, 影書房, 일본
  • 2015 『이강백 희곡전집 8권』, 평민사
  • 2017 『한국현대희곡선』, <봄날> 수록, 문학과 지성사
  • 2021 『이야기가 사람을 만들고 사람이 이야기를 만든다』, 평민사
  • 2022 『이강백 희곡전집 9권』, 평민사

등록된 작품 및 예술활동이 없습니다.

회원의 대한민국예술원 활동내역을 나타내는 표로 참여년도,작품 및 예술활동,상세보기 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참여년도 작품 및 예술활동 상세보기
등록된 대한민국예술원 활동내역이 없습니다.
회원의 간행물 내역을 나타내는 표로 간행물명, 목차명, 상세보기 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간행물명 목차명 상세보기
등록된 간행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