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10월 일본텐리대학 조선학회 발표
거울로서의 자전과 일기 2016
한국근대문예비평사 1999
한국소설사 2000
한국현대문학사 2008
간행물명 | 목차명 | 상세보기 |
---|---|---|
예술원보 제61호 | 박완서가 남긴 세 번의 여행 기록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58호 | 내가 관여한『문학』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60호 | 작가 이승우의 데뷔작 「에리직톤의 초상」(1981)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59호 | 한국 근대문학에서의 이중어 글쓰기의 특수 공간 | 상세보기 |
한국예술사총서Ⅰ-한국문학사 | 비평문학 | 상세보기 |
한국예술지 14 | 批評槪觀 및 資料 | 상세보기 |
한국예술지 11 | 批評 | 상세보기 |
한국예술지 9 | 小說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57호 | 최재서의 `문학원론`과 맑스·엥겔스의 `예술원론`- 문학교육론(4)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56호 | 소설 작법의 교육적 기능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55호 | 문학 교육의 일원화 과정에 대하여 - 해방공간에서 1950년대까지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54호 | 소설적 허구에 대한 이청준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53호 | 「임꺽정」과 「순교자」가 만나는 어떤 자리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52호 | 「토지」에서 바라본 `우리 소설`의 세가지 범주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51호 | 내가 찍힌 사진 석 장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50호 | 도쿄, 1927년의 이북만과 그 주변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49호 | 권환 문학기행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48호 | 직접성으로서의 「킬리만자로의 눈」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47호 | 거북과 투구게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46호 | 문학제국주의적 표정 세가지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45호 | 미당의 <영산홍>과 운보의 <영산홍> | 상세보기 |
예술원보 제27호 | 李軒求의 文學 世界 | 상세보기 |
한국예술총집·문학편Ⅲ-현대시인·작가론 | 유홍종論-환상과 현실의 방법론적 흥미 | 상세보기 |
한국예술총집·문학편Ⅰ-현대시인·작가론 | 李箕永論-『故鄕』에서 『豆滿江』까지 | 상세보기 |
한국예술총집·문학편Ⅰ-현대시인·작가론 | 趙芝薰論-心情의 閉鎖와 擴散의 破綻 | 상세보기 |
예술논문집 제49집 | 한국근대문학의 시선에서 본 문장독본과 문학독본의 관련 양상 | 상세보기 |
예술논문집 제49집 | 문학편 | 상세보기 |
예술논문집 제45집 | 동경고사생 백철의 프롤레타리아 문학 활동 양상-1927~1931 | 상세보기 |
예술논문집 제44집 | 두가지 절대성과 두가지 자연-카프문학, 유진오, 김동리의 관련 양상 | 상세보기 |
예술논문집 제42집 | 한국근대문학사에서의 근대에 대한 문학적 대응유형 연구 | 상세보기 |
예술논문집 제41집 | 소월과의 거리재기 : 오장환, 김동리, 서정주의 경우 | 상세보기 |
예술논문집 제39집 | 조선 작가의 일어 창작에 대한 한 고찰: 이효석, 유진오, 김사량의 경우 | 상세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