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visual

회원 상세보기

문학 분과 다른 회원 보기 이동
유고회원
김윤식

김윤식(金允植, Kim, Yoonshik)

분과
문학
분야
평론
출생지
경남 김해
입회연도
2001
작고일
2018-10-25

상훈

  • 1987 제1회 대한민국문학상
  • 1990 제1회 김환태 비평문학상
  • 1991 제2회 팔봉 비평문학상
  • 1993 평운문학상
  • 1994 제11회 요산문학상
  • 2001 황조근정훈장
  • 2002 대산문학상 평론부문
  • 2003 만해문학상 학술부문
  • 2014 제1회 이승휴문화상
  • 2014.11.28 민세안재홍선생기념사업회 주관 제5회 民世賞 수상
  • 2016 제26회 자랑스러운 서울대인상
  • 2016 은관문화훈장

주요 작품 및 예술활동

  • 1973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 1986 「이광수와 그의 시대」
  • 1986 「한국 근대소설사 연구」
  • 1987 「김동인 연구」, 「염상섭 연구」
  • 1990 「임화 연구」
  • 1994 「90년대 한국소설의 표정」
  • 1997 「김윤식의 소설 현장 비평」
  • 1997 「김윤식의 현대문학의사 탐구」
  • 1997 「발견으로서의 한국문학사」
  • 1998 「이상 문학 텍스트연구」
  • 1999 「한국근대문학 연구방법입문」
  • 2000 「한국현대비평사론」
  • 2001 「우리 소설과의 대화」
  • 2001 「한·일 근대문학의 관련 양상신론」
  • 2002 「미당의 어법과 김동리의 문법」
  • 2002 「오늘의 작가 오늘의 작품」
  • 2002 「우리 근대문학사와의 대화」
  • 2003 「아득한 회색, 선연한 초록」
  • 2003 「일제 말기 한국작가의 일본어 글쓰기론」
  • 2004 「김윤식의 비평수첩」, 「20세기 한국작가론」
  • 2005 「내가 살아온 20세기 문학과 사상」
  • 2005 「비도 눈도 안내리는 시나카와역」
  • 2005 「작은끌쓰기」, 「큰글쓰기」
  • 2005 김윤식선집 7권
  • 2006 해방공간 한국작가의 민족문학 글쓰기론
  • 2006 작가론의 새 영역
  • 2008 백철연구
  • 2009 박경리와「토지」
  • 2009 최재서의 「국민문학」과 사토기요시 교수
  • 2010 이병주와 지리산
  • 2011 임화와 신남철
  • 2012 한,일 학병세대의 빛과 어둠
  • 2012 내가 읽고 만난 일본
  • 2013 내가 읽은 박완서
  • 2013 내가 읽은 우리 소설
  • 2013 문학사의 라이벌 의식
  • 2013 6.25의 소설과 소설의 6.25
  • 2013 3대 계간지가 세운 문학의 기틀
  • 2014 문학을 걷다-김윤식이 만난 문학이야기
  • 2014 내가 읽고 쓴 글의 갈피들
  • 2014.4.23 제25회 김달진문학상 평론 부문 심사
  • 2014.10.25 일본에서 한국문학을 연구·번역하는 일본 교수들과 학술대회 기조 강연(와세다 대학)
  • 2014.12.8~12.13 예술원 회원 국제교류(일본 도쿄)
  • 2015 내가 읽은 기행문들
  • 2015 김윤식 평론선집(윤대석 엮음)
  • 2015 아비 어미 그림 음악 바다 그리고 산 (역락)
  • 2015 내가 읽은 우리 소설
  • 2015.1.16 2015 이상문학상 심사
  • 2015.9 "본질과 현상" 41호, ‘한국 근대문학에서의 학병 세대의 위상’
  • 2015.11 논문 "육당, 벽초, 춘원의 ‘일본 유학’" (조도전대) 발표
  • 2016 거울로서의 자전과 일기
  • 2016 문학사의 라이벌 의식
  • 2016.04 월간 "문학사상" 4월호, “커버스토리: 비평가로서의 나의 삶”
  • 2016.04 월간 "현대문학" 4월호, “이 땅에 태어나 살고 사랑했다”
  • 2017.4.7 2017 이병주문학 학술세미나 참석(이병주문학관)
  • 2017.4.15 <이병주 문학의 역사와 사회 인식> 바이북스 간행
  • 2017.5 제28회 김달진문학상 평론 부문 심사위원
  • 2017.7.10 <김윤식 서문집> 간행
  • 2017.9.30 <문학사의 라이벌의식3> 간행
2002년10월 일본텐리대학 조선학회 발표

설명

2002년10월 일본텐리대학 조선학회 발표

목록

2002년10월 일본텐리대학 조선학회 발표
2003년8월 만해대상(학술부문) 수상
2004년7월 송몽규 무덤(용정)
2005년3월 (현대문학, 50주년 기념강연)
2005년5월 평화를 위한 글쓰기, 대산문화재단주최
2005년7월 유럽한국학회 참석
거울로서의 자전과 일기 2016

거울로서의 자전과 일기 2016

한국근대문예비평사 1999

한국근대문예비평사 1999

한국소설사 2000

한국소설사 2000

한국현대문학사 2008

한국현대문학사 2008

회원의 대한민국예술원 활동내역을 나타내는 표로 참여년도,작품 및 예술활동,상세보기 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참여년도 작품 및 예술활동 상세보기
2014년 대한민국예술원 국제교류 상세보기
2009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활동창작지원 상세보기
2007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2005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2004년 대한민국예술원 예술원세미나 상세보기
2003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2002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예술특별강연회 상세보기
회원의 간행물 내역을 나타내는 표로 간행물명, 목차명, 상세보기 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간행물명 목차명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61호 박완서가 남긴 세 번의 여행 기록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8호 내가 관여한『문학』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60호 작가 이승우의 데뷔작 「에리직톤의 초상」(1981)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9호 한국 근대문학에서의 이중어 글쓰기의 특수 공간 상세보기
한국예술사총서Ⅰ-한국문학사 비평문학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14 批評槪觀 및 資料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11 批評 상세보기
한국예술지 9 小說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7호 최재서의 `문학원론`과 맑스·엥겔스의 `예술원론`- 문학교육론(4)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6호 소설 작법의 교육적 기능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5호 문학 교육의 일원화 과정에 대하여 - 해방공간에서 1950년대까지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4호 소설적 허구에 대한 이청준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3호 「임꺽정」과 「순교자」가 만나는 어떤 자리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2호 「토지」에서 바라본 `우리 소설`의 세가지 범주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1호 내가 찍힌 사진 석 장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50호 도쿄, 1927년의 이북만과 그 주변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9호 권환 문학기행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8호 직접성으로서의 「킬리만자로의 눈」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7호 거북과 투구게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6호 문학제국주의적 표정 세가지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45호 미당의 <영산홍>과 운보의 <영산홍> 상세보기
예술원보 제27호 李軒求의 文學 世界 상세보기
한국예술총집·문학편Ⅲ-현대시인·작가론 유홍종論-환상과 현실의 방법론적 흥미 상세보기
한국예술총집·문학편Ⅰ-현대시인·작가론 李箕永論-『故鄕』에서 『豆滿江』까지 상세보기
한국예술총집·문학편Ⅰ-현대시인·작가론 趙芝薰論-心情의 閉鎖와 擴散의 破綻 상세보기
예술논문집 제49집 한국근대문학의 시선에서 본 문장독본과 문학독본의 관련 양상 상세보기
예술논문집 제49집 문학편 상세보기
예술논문집 제45집 동경고사생 백철의 프롤레타리아 문학 활동 양상-1927~1931 상세보기
예술논문집 제44집 두가지 절대성과 두가지 자연-카프문학, 유진오, 김동리의 관련 양상 상세보기
예술논문집 제42집 한국근대문학사에서의 근대에 대한 문학적 대응유형 연구 상세보기
예술논문집 제41집 소월과의 거리재기 : 오장환, 김동리, 서정주의 경우 상세보기
예술논문집 제39집 조선 작가의 일어 창작에 대한 한 고찰: 이효석, 유진오, 김사량의 경우 상세보기